지원사업
학술연구/단체지원/교육 등 연구자 활동을 지속하도록 DBpia가 지원하고 있어요.
커뮤니티
연구자들이 자신의 연구와 전문성을 널리 알리고, 새로운 협력의 기회를 만들 수 있는 네트워킹 공간이에요.
1. 문제제기
2. 제국의 육체와 마음의 목소리 경합
3. 호출된 네이션과 타락하는 기호
4. 길항 끝의 선택
5. 나가는 말
참고문헌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상하이의 憂鬱: 1930년대 해항도시 상하이의 삶과 기억- 김광주와 요코미쓰 리이치를 중심으로
인문사회과학연구
2019 .01
무지개의 집 외 1편
문학들
2019 .05
요코미쓰 리이치(橫光利一)의 《상하이(上海)》와 제국주의적 국민주의
중국문학연구
2023 .03
무지개 생명부
숙명문학
2017 .11
돌이켜보면 상하이는 이미 이 도시에 있지 않고 : 상하이②
황해문화
2018 .06
[대표작품] 무지개 생명부 외 2편
숙명문학
2019 .11
[신작] 무지개는 둥그렇다 외 1편
시조시학
2015 .12
[시인의 마을에서] 무지개
월간에세이
2020 .07
중국이 세계였을 때 : 상하이①
황해문화
2018 .03
[On The Road] 무지개(Rainbow)
월간에세이
2023 .07
무지개가 뀐 방이봉방방
창비어린이
2019 .06
[에세이 글마당] 우리 부부의 무지개
월간에세이
2024 .01
김광주 소설 속 올드 상하이의 시공간
중국문학연구
2019 .01
오월에서 사월로 무지개가 외 1편
자음과모음
2021 .12
요코미쓰 리이치의 『천사』에 묘사된 정략 결혼과 집제도 - 외지로 확장된 독자참여 -
일본연구
2022 .02
왜 ‘국민국가’가 문제인가?
개념과 소통
2016 .12
[작품론] 하동 포구에 떠오른 무지개, 그 실존의 흔적
수필미학
2020 .09
[사막을 일구는 햇살] 삼면 사색의 무지개 바다
월간에세이
2020 .08
쑤퉁「부녀생활」과 영화『재스민 꽃 피다』의 서사비교와 상하이 상상
외국문학연구
2017 .05
운동
월간에세이
2020 .07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