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원사업
학술연구/단체지원/교육 등 연구자 활동을 지속하도록 DBpia가 지원하고 있어요.
커뮤니티
연구자들이 자신의 연구와 전문성을 널리 알리고, 새로운 협력의 기회를 만들 수 있는 네트워킹 공간이에요.
이용수
Ⅰ. ‘대화재’의 트라우마
Ⅱ. 일기로 보는 ‘대화재’
Ⅲ. 유언비어와 묵시록적 환상
Ⅳ. 사회불안과 당국의 대처
Ⅴ. 도시 재개발
Ⅵ. 맺음말
참고문헌
Abstract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런던 사람들의 역사>(A People’s History of London)를 통해 본 이주민들의 런던과 현재
도시인문학연구
2017 .01
카릴 필립스의 『마지막 항해』에 나타난 흑인 여성 이민자의 런던
현대영미소설
2021 .09
런던대학교와 식민지 대학의 ‘특별한 관계’, 1947-1968
영국 연구
2022 .12
영국 런던에 대한 역사 연구의 동향과 특성
[TCHCCOS] 서울과 역사
2018 .10
『흰 어금니』에 나타난 자연과 문명그리고 생태학적 비전
인문학연구
2019 .01
근세 일본의 재해와 사자처리 - 메이레키 대화재와 교호 대기근의 사례를 중심으로 -
동양사학회 학술대회 발표논문집
2023 .05
잭 런던의 조선 : 결핍과 비효율의 시공간
동서비교문학저널
2016 .09
도시 속의 낯선 이들 : 디킨즈 산문에 나타난 불안한/익숙한 낯섦과 타자성의 재현
19세기 영어권 문학
2015 .08
한국 근대 도시계획사 연구의 동향
도시연구
2017 .10
근현대 시기 순천의 성장과 도시계획의 전환
학림
2021 .09
2000년 이후 한국의 중국 근대도시사 연구 동향과 과제(2001~2020)
도시연구
2022 .11
『화이트 팽』에 나타난 공동체 위기와 관계 회복
현대영어영문학
2024 .02
전시기(1937-1945) 반일언동 사건과 식민지 조선 민중의 의식 ―식량 관련 ‘유언비어’ 분석을 중심으로―
민족문화연구
2018 .01
토마스 헤이우드의 어떻게 저를 모르실 수가. 2부: 두 개의 런던과 상인상의 분화
고전중세르네상스영문학
2016 .01
해방 이후 도시개발 기구의 재편과 새로운 도시 구조의 모색
동방학지
2023 .06
악의 도시
시조시학
2016 .08
도시의 색을 찾아서
월간에세이
2020 .02
나는 걷고 싶은 도시에 살고 싶다
문학들
2019 .08
눈먼 자들의 도시 외 1편
시조시학
2022 .12
벽에 갇힌 도시
제3시대
2017 .05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