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새로운 유통채널로 급성장한 헬스&뷰티스토어의 브랜드의 인지도 및 구매실태, 브랜드 이미지, 고객만족 및 구매의도의 소비자 인식을 조사 분석하고 현실태를 파악하고자 하는 것이 본 연구의 목적이다. 이를 위해 국내 총 매장 수, 점유율 기준 대표 헬스&뷰티스토어 올리브영, 왓슨스, 롭스를 연구대상으로 선정하여 설문조사를 통하여 실증연구를 진행하였으며, 이론적 고찰은 논문, 학술지, 전문서적, 간행물, 인터넷을 통한 D/B 검색을 활용하여 연구를 진행하였다. 연구결과, 선호하는 헬스&뷰티스토어는 여성, 20대는 올리브영을 남성, 30대 이후는 왓슨스를 선호하였으나 유의미한 차이를 나타내진 않았으며 헬스&뷰티스토어를 방문하는 이유는 화장품 비교 구매를 위하여가 36.0%로 가장 많았으며, 다음으로 다양한 테스트 22.3%, 화장품 이외의 상품 구매 20.1%, 저렴해서 12.9% 등으로 조사되었다. 헬스&뷰티스토어를 방문하는 빈도는 한 달에 한 번 방문하는 20대, 30대 이후가 43.2%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헬스&뷰티스토어의 브랜드 이미지 중 심미성은 올리브영이, 상징성은 왓슨스, 롭스는 혁신성이 가장 높게 나타났고 국내 대표 헬스&뷰티스토어에 대한 심미성, 상징성, 혁신성의 브랜드 이미지와 고객만족, 구매의도는 전체적으로 그다지 높게 인식하지 않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그 중 올리브영이 고객만족과 구매의도에 있어서 가장 높게 나타났다. 브랜드 이미지가 고객만족에 미치는 영향에 있어서는 브랜드 이미지 중 상징성이 높을수록 헬스&뷰티스토어에 대한 고객만족이 높은 것으로 조사되었으며, 헬스&뷰티스토어의 브랜드 이미지 중 상징성과 혁신성이 높을수록 구매의도가 높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향후 국내 헬스&뷰티스토어는 유통업계의 치열한 경쟁에 대비하여 경쟁우위를 확보하기 위해서는 브랜드 이미지와 고객만족, 구매의도를 위한 서비스, 제품, 가격, 시설의 전문화되고 차별화된 전략이 필수적이며, 과거 드럭스토어의 모습에서 벗어나 국내 소비자특성에 맞는 전략이 필요하다. 이에 본 연구의 결과는 국내 헬스&뷰티스토어의 전략 수립에 기초자료로 활용되길 기대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rvey and analyze brand awareness and purchase reality, brand image, and consumer perception on customer satisfaction and purchase intention of health & beauty store that rapidly grew as the country"s new distribution channel, and to grasp the current realities. For this, an empirical research was progressed through a questionnaire survey by selecting research subjects as the representative health & beauty stores Olive Young, Watsons, Lohbs based on total store number and market share at home. A theoretical consideration was progressed a research by utilizing theses, academic journals, specialized books, publication materials, and D/B search through internet. As a result of research, a health & beauty store was preferred Olive Young by women in their 20s and Watsons by men in their 30s. But a significant difference wasn"t shown. A reason of visiting a health & beauty store was the largest with 36.0% in the aim of comparatively buying cosmetics. Sequentially, it was surveyed to be 22.3% in diverse tests, 20.1% in purchasing commodity in addition to cosmetics, and 12.9% in because of being cheap. The frequency of visiting a health & beauty store was indicated to be the highest with 43.2% in their 20s and after their 30s of visiting once a month. The brand image of a health & beauty store was shown to be the highest in esthetics of Olive Young, symbolism of Watsons, and innovation of Lohbs. The brand image, customer satisfaction and purchase intention of esthetics, symbolism and innovation on the country"s representative health & beauty stores were surveyed to be recognized not so highly in general. Out of it, Olive Young was indicated to be the highest in customer satisfaction and purchase intention. The influence of brand image upon customer satisfaction was surveyed that the higher symbolism out of brand image leads to the higher customer satisfaction with a health & beauty store. It was surveyed that the higher symbolism and innovation out of brand image in a health & beauty store leads to the higher purchase intention. A domestic health & beauty store henceforth requires a specialized and differentiated strategy for service, product, price and facilities aiming at brand image, customer satisfaction and purchase intention in order to secure competitive advantage in preparation for fierce competition in distribution industry. A strategy suitable for domestic consumers" characteristics is needed with escaping from the past drugstore image. Accordingly,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expected to be utilized as basic data in establishing a strategy for domestic health & beauty st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