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원사업
학술연구/단체지원/교육 등 연구자 활동을 지속하도록 DBpia가 지원하고 있어요.
커뮤니티
연구자들이 자신의 연구와 전문성을 널리 알리고, 새로운 협력의 기회를 만들 수 있는 네트워킹 공간이에요.
이용수
[표지 & 목차]
[1. 더 이상 외국인이 아닌 외국인주민]
다문화사회의 도래
부산지역 외국인주민도 지속적 증가 추세
부산지역에 거주하는 외국인주민의 특성
[2. 외국인주민이 체감하는 부산의 생활환경]
외국인주민은 취업할 때 ‘수입’과 ‘안정적 일자리’를 우선시
외국인주민은 집을 계약할 때, 다국어 설명을 원해
문화생활을 위한 다국어 정보 부족, 자녀의 한글 · 모국어교육에도 어려움 겪어
대중교통과 의료기관 이용 시 의사소통 가능한 정보와 의료지원 요구
내국인주민은 외국인주민과 이웃 · 동료관계 형성에는 수용성 높고, 가족관계 형성에는 수용성 낮음
[3. 외국인주민과 더불어 살아가기 위한 부산의 과제]
외국인주민 특성에 맞는 맞춤형 지원
외국인주민의 취업과 근무조건의 개선 노력
부동산 · 문화생활 정보 다국어지원서비스 확대
대중교통 · 의료기관 외국어정보서비스 지원 활성화
외국인주민 자녀 대상 한글 · 부모모국어 교육 강화
부산시민의 다문화적 인식의 전환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외국인주민과 함께 살기 좋은 부산을 위한 정책과제
부산여성가족 Brief
2023 .08
부산지역 외국인주민 생활 실태조사
연구보고서
2023 .11
[일신초등학교] 배움과 삶이 함께하는 마음더하기 경제교육을 통한 나눔 가치 실천 : 연구학교 운영 보고서(2/2)
국립중앙도서관 연계자료
2018 .01
부산 여성은 건강한가요?
여성우리
2019 .10
부산지역 1인가구 증가에 따른 종합정책연구
연구보고서
2017 .12
부산 여성들의 삶은 안전한가?
여성우리
2020 .04
‘아이 낳고 기르기 좋은 부산’을 위한 부산형 육아친화마을 조성 방안
부산여성가족 Brief
2023 .03
부산의 일·생활균형 수준은 어떠한가요?
여성우리
2020 .10
부산 1인가구의 경제활동
여성우리
2018 .04
부산지역 가족 내 성평등 이루어지려면?
부산여성가족 Brief
2019 .06
부산시민이 생각하는 가족은 어떻게 달라졌을까?
부산여성가족 Brief
2021 .06
부산 성별영향분석평가센터
여성우리
2015 .12
[여성가족부 청소년보호환경과] 2017년 추진실적 및 2018년도 시행계획 : 제2차 청소년보호종합대책 (2016~2018)
국립중앙도서관 연계자료
2018 .01
2023년 통계로 보는 부산여성가족의 삶
연구보고서
2023 .12
2021년 통계로 보는 부산여성가족의 삶
연구보고서
2021 .12
부산 시민이 바라는 여성복합공간
부산여성가족 Brief
2023 .11
코로나19 속 부산여성가족의 삶, 어떻게 변하고 있을까요?
부산여성가족 Brief
2022 .01
[서울특별시] 제2차 서울시 외국인주민 및 다문화가족 정책 기본계획 수립 연구
국립중앙도서관 연계자료
2019 .01
부산 공공부문 여성대표성은 어떠한가요?
여성우리
2018 .10
부산 물류산업의 기술경쟁력 분석
한국기술혁신학회 학술대회
2019 .11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