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 내서재 .. 알림
소속 기관/학교 인증
인증하면 논문, 학술자료 등을  무료로 열람할 수 있어요.
한국대학교, 누리자동차, 시립도서관 등 나의 기관을 확인해보세요
(국내 대학 90% 이상 구독 중)
로그인 회원가입 고객센터 ENG
주제분류

추천
검색
질문

논문 기본 정보

자료유형
연구보고서
저자정보
고준호 (서울연구원) 기현균 (서울연구원)
저널정보
서울연구원 서울연구원 정책과제연구보고서 [서울연 2014-PR-41] 공유도시 상징사업 나눔카 효과평가와 서비스의 운영방향
발행연도
2015.4
수록면
1 - 77 (77page)

이용수

표지
📌
연구주제
📖
연구배경
🔬
연구방법
🏆
연구결과
AI에게 요청하기
추천
검색
질문

초록· 키워드

오류제보하기
This study evaluates the effectiveness of the Seoul car-sharing service and proposes strategies for providing better service. The car-sharing service was officially launched in 2013. In this study, a survey is designed to examine the characteristics and attitudes of participants. The majority of the members are males ranging in age from their 20`s to 30`s. Most members were found to be generally satisfied with the service, as suggested by the average satisfaction score of 4.01 out of a total of 5 points.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 car-sharing program has reduced car ownership by 6,200 passenger cars previously owned by the car-sharing members. Broken down, it results in a ratio of one shared car replacing every 3.5 privately owned cars. The surveyed shared car use patterns implied the service might generate an additional 7,900 daily car trips, which can be a negative impact for road traffic conditions. However, it is only 0.02% of the total number of trips made in Seoul, thus likely a negligible impact on the overall transportation system. In general, the service was deemed positive in its effects on Seoul transportation systems, and may need to expand its fleet size and number of members. This study proposes that when the car-sharing system is expanded the following aspects should be considered: 1) public transit and car-sharing systems should complement each other, 2) more environmentally friendly car should be included in the fleet, and 3) more weights should be put on the provision of social services as its role.

목차

[표지]
[요약]
`사업시행 2년여` 나눔카 서비스 효과 평가할 시점
대여지점 3배 늘고 회원수도 5.9배 증가 `급성장세`
20·30대 남성이 주로 이용... 응답자 98% “서비스 만족”
나이 많고 소득 적고 1·2인 가구일수록 보유차량 처분 경향
대여지점 80%rk 2eo 이하 차량... 밤 9~12시 최다 이용
배치차량 많고 인근 지하철역 많을수록 이용횟수 증가 경향
나눔카에 의한 통행량은 서울시 전체 통행량의 0.02% 불과
나눔카 서비스 도입은 차량 보유 억제 등 긍정적 영향
편도서비스·요금제 차등화 등 서비스 다양화 모색해야
[목차]

그림
[01. `나눔카사업 도입 2년여` 서비스특성 파악할 시점]
1_나눔카 도입효과의 객관적 평가 부재
2_설문조사·운행자료 분석해 서비스특성 파악
[02. 850개 나눔카 대여지점, 차량 2,000여대 서비스]
1_나눔카는 `공유도시 서울`의 주요 사업
2_서비스 지속 확대로 대여차량 4배 늘어
[03. `공유도시` 도입취지 살리는 나눔카 서비스]
1_설문조사·운행자료 분석으로 효과 평가
2_응답자 98% “나눔카 서비스에 만족”
3_긍정적 이미지 연상시키는 나눔카 서비스
4_지역별로 대여차량 배치규모의 불균등
5_나눔카 도입으로 승용차보유 감소 효과
6_사회 형평성 증진 기여 등 긍정적 영향
[04. 나눔카 규모 확대하고 서비스 다양화도 필요]
1_대여차량·회원수 현재의 2배 수준까지 확대
2_5분내 이용 가능하게 서비스지점도 확충
[05. 대중교통과 공존 등 공공적인 기능 강화]
1_시장규모 2배 키우면 7만대 차량보유 억제
2_서비스 이용저변 확대, 교통관리 기능 강화
[참고문헌]
[Abstract]
[Contents]

참고문헌 (0)

참고문헌 신청

함께 읽어보면 좋을 논문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이 논문의 저자 정보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논문

최근 본 자료

전체보기

댓글(0)

0

UCI(KEPA) : I410-ECN-0101-2017-359-0013791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