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 내서재 .. 알림
소속 기관/학교 인증
인증하면 논문, 학술자료 등을  무료로 열람할 수 있어요.
한국대학교, 누리자동차, 시립도서관 등 나의 기관을 확인해보세요
(국내 대학 90% 이상 구독 중)
로그인 회원가입 고객센터 ENG
주제분류

추천
검색
질문

논문 기본 정보

자료유형
학술저널
저자정보
김수홍 (한국법제연구원)
저널정보
한국법학원 저스티스 저스티스 통권 제157호
발행연도
2016.12
수록면
189 - 217 (29page)

이용수

표지
📌
연구주제
📖
연구배경
🔬
연구방법
🏆
연구결과
AI에게 요청하기
추천
검색
질문

초록· 키워드

오류제보하기
최근 우리 사회에서는 지속적으로 증가하는 학교안전사고를 예방하기 위한 논의가 다양하게 이뤄지고 있다. 특히, 학교안전사고를 예방하기 위한 논의로써 안전문화가 강조되면서 관련 법정책을 정비하는 노력이 지속되고 있다.
그러나 학교의 안전문화와 관련한 법정책으로 이론을 중심으로 한 안전교육이 시행되고 있는 점, 전문가가 아닌 교사가 대부분의 안전교육과 안전관리를 담당하고 있는 점, 각 부처별에 따른 학교 주변의 보호구역으로 비효율적인 운영이 이뤄지고 있는 점, 어린이 통학버스 등 안전기준이 미흡한 점, 예방의무 위반에 대한 처벌 규정이 부재하거나 미비한 점 등의 문제점이 나타나고 있어 학교의 안전문화를 정착하는데 한계로 작용하고 있다.
따라서 학생, 교직원, 교육활동참여자가 안전하게 교육활동을 할 수 있는 학교의 안전문화를 정착하기 위해서는 다음과 같이 개선해야 할 과제가 있다. 첫째, 체험시설, 장비, 재정 등의 지원을 통한 학교 안전교육 7대 표준안의 내실화, 둘째, 학교안전지도관, 보건교사 등의 확충을 통한 안전 전문기관 및 인력 확보, 셋째, 어린이 통학버스 등 안전관리의 개선, 넷째, 예방의무 위반의 처벌 등을 통한 안전책임의 강화, 다섯째, 안전문화 홍보 등 안전문화활동에 대한 규정의 마련이다.

목차

논문요지
Ⅰ. 머리말
Ⅱ. 학교 안전문화의 의의
Ⅲ. 학교의 안전문화 관련 법제와 문제점
Ⅳ. 학교의 안전문화 정착을 위한 법정책적 과제
Ⅴ. 맺음말
〈참고문헌〉
〈Abstract〉

참고문헌 (59)

참고문헌 신청

이 논문과 연관된 판례 (2)

  • 대법원 2009. 11. 19. 선고 2009도6058 전원합의체 판결

    [1] [다수의견] 형사소송법상 소송능력이라 함은 소송당사자가 유효하게 소송행위를 할 수 있는 능력, 즉 피고인 또는 피의자가 자기의 소송상의 지위와 이해관계를 이해하고 이에 따라 방어행위를 할 수 있는 의사능력을 의미한다. 의사능력이 있으면 소송능력이 있다는 원칙은 피해자 등 제3자가 소송행위를 하는 경우에도 마찬가지라고 보아야 한다. 따

    자세히 보기
  • 대법원 2012. 12. 13. 선고 2010두20874 판결

    등교하던 중 학교 복도에서 쓰러진 후 사망한 고등학생 甲의 아버지 乙이, 甲의 사망이 등교 중 발생한 학교안전사고에 해당한다며 서울특별시학교안전공제회에 甲에 대한 요양급여, 유족급여 및 장의비의 지급을 구하는 학교안전공제보상심사청구를 하였으나 공제회가 甲의 사망이 교육활동과 인과관계가 없다는 이유로 심사청구를 기각하는 결정을 통보한 사안에서, 위 공제회는

    자세히 보기

함께 읽어보면 좋을 논문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이 논문의 저자 정보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논문

최근 본 자료

전체보기

댓글(0)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