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원사업
학술연구/단체지원/교육 등 연구자 활동을 지속하도록 DBpia가 지원하고 있어요.
커뮤니티
연구자들이 자신의 연구와 전문성을 널리 알리고, 새로운 협력의 기회를 만들 수 있는 네트워킹 공간이에요.
이용수
Abstract
1. 서론
2. 농촌지도
3. 지역사회개발
4. 새마을운동
5. 결론
참고문헌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Some Controversial Issues in Saemaul Undong in Korea and Their Implications for Its Transferability
새마을학연구
2016 .06
한국사회의 공동체정신 비교 분석: 향약과 두레, 새마을정신을 중심으로
한국비교정부학보
2019 .01
새마을운동의 기본원리와 글로벌 공유를 위한 가치구조에 관한 연구: 1970년대 새마을운동과 2010년대 글로벌새마을운동의 논리를 중심으로
한국비교정부학보
2018 .01
새마을운동의 새로운 방향 설정에서 행정의 역할에 관한 연구
한국비교정부학보
2017 .01
1970년대 새마을운동 관련 연구에 대한 논쟁
한국비교정부학보
2018 .01
1970년대 신문기사에 나타난 새마을운동 특성 분석
한국비교정부학보
2020 .01
Is Saemaul Undong still a Means for Politics?: Using Topic Modeling Based on LDA
새마을학연구
2021 .12
What is Global Saemaul Undong Doing in Africa? - Critical Examining Its Myth and the Reality in Rwanda
국제개발협력연구
2023 .03
새마을운동의 회고와 전망
영남법학
2016 .01
Development of Agricultural Research and Extension System of Korea and its Implications for Eurasian Countries
한국농촌경제연구원 연구보고
2019 .02
1970년대 공장새마을운동에 관한 기초 연구
한국비교정부학보
2019 .01
A Comparative Study on the Self-help Approach in Rural Development between Vietnam's New Rural Development and Korea's Saemaul Undong
[KIEP] East Asian Economic Review
2016 .03
농촌 지역사회 주민역량이 지역사회 만족에 미치는 영향 - 지역사회 애착도의 조절효과 -
농촌지도와 개발
2017 .01
농촌지역사회 공동체의식 유형별 지역사회활동 참여 특성분석
농촌지도와 개발
2017 .01
새마을운동 관련 사회적 이슈 탐색 및 의미에 관한 연구 : 뉴스 빅데이터의 LDA기반 토픽분석을 중심으로
사회적경제와 정책연구
2022 .05
지역주민의 지역사회참여에 미치는 영향요인에 관한 실증연구 : 글로벌새마을정신과 공동체의식 그리고 세계시민의식을 중심으로
사회적경제와 정책연구
2018 .02
아시아 주요국 농촌개발프로그램 비교를 통해서 본 새마을운동의 성과 평가: 생활환경개선사업을 중심으로
아시아연구
2023 .05
Improving Community Participation in Rural Community Development Program: Case Study of Global Saemaul Undong Project in Ponjong Village, Gunungkidul Regency, Yogyakarta Special Region, Indonesia
새마을학연구
2018 .12
A Comparative Study on Rural Integrated Development Planning in the Perspective of Learning Organization: A Focus on the Saemaul Undong of Korea and Rural Integrated Development Planning of Sri Lanka
새마을학연구
2016 .06
농촌 지역사회개발에 있어 주민조직의 효과 분석: 르완다 농촌개발 국제협력사업 사례
한국지방자치연구
2016 .01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