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원사업
학술연구/단체지원/교육 등 연구자 활동을 지속하도록 DBpia가 지원하고 있어요.
커뮤니티
연구자들이 자신의 연구와 전문성을 널리 알리고, 새로운 협력의 기회를 만들 수 있는 네트워킹 공간이에요.
이용수
등록된 정보가 없습니다.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순례 주택』: 유은실 장편소설, 비룡소
창비어린이
2021 .12
중간지대 - 이야기로 지은 비정도시 : 구병모, 『그것이 나만은 아니기를』(문학과지성사, 2015)
자음과모음
2015 .06
[시] 울부짖는 검은 머리 아이들의 시간이 돌아온다, 문을 열고 - 신이인의 『검은 머리 짐승 사전』(민음사, 2023)과 조시현의 『아이들 타임』(문학과지성사, 2023) 읽기
문학들
2023 .05
소설적인, 너무나 소설적인 : 김경욱, 『소년은 늙지 않는다』(문학과지성사, 2014)
자음과모음
2015 .03
불행의 책임에 관하여 : 편혜영, 『소년이로』(문학과지성사, 2019)
자음과모음
2019 .09
미완의 과거 : 이혜경, 『저녁이 깊다』(문학과지성사, 2014)
자음과모음
2015 .03
죽어도 죽지 않는 노래 : 이은선, 『발치카 No. 9』(문학과지성사, 2014)
자음과모음
2015 .03
왜 ‘새’죠? : 김혜순, 『날개 환상통』(문학과지성사, 2019)
자음과모음
2019 .09
진실게임 : 한은형, 『어느 긴 여름의 너구리』(문학동네, 2015) / 박정윤, 『목공 소녀』(자음과모음, 2015) / 이장욱, 『기린이 아닌 모든 것』(문학과지성사, 2015)
자음과모음
2015 .09
감정 탐사가의 시 ― 임지은, 『때때로 캥거루』(문학과지성사, 2021)
청색종이
2022 .03
[젊은 평론가가 읽는 오늘의 시(3)] 내면의 종말 입론 ― 박세미 시집『오늘 사회 발코니』(문학과지성사, 2023)에 기대어
푸른사상
2024 .09
보이저호에 대해 잘 알려진 사실과 덜 알려진 사실 : 하재연, 『우주적인 안녕』(문학과지성사, 2019)
자음과모음
2019 .09
표면의 무늬 ― 이수명, 『도시가스』(문학과지성사, 2022)
청색종이
2022 .06
우리 동네의 이름을 기억해 : 유은실 글, 오승민 그림 『나의 독산동』 문학과지성사 2019
창비어린이
2019 .09
유은실 텍스트의 공간 표상 연구 - 『변두리』, 『드림 하우스』, 『나의 독산동』을 중심으로 -
아동청소년문학연구
2020 .12
『아테나와 아레스』: 신현 장편동화·조원희 그림, 문학과지성사
창비어린이
2021 .12
장편, ‘가능성’으로서의 문학
창비어린이
2016 .09
『아무것도 안 하는 녀석들』: 김려령 장편동화·최민호 그림, 문학과지성사
창비어린이
2021 .12
『위풍이와 당당이』: 우진숙 장편동화·권정민 그림, 문학과지성사
창비어린이
2021 .12
[그 작품 그 작가(16)] 『만국기 소년』의 작가, 유은실을 만나다
창비어린이
2016 .06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