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원사업
학술연구/단체지원/교육 등 연구자 활동을 지속하도록 DBpia가 지원하고 있어요.
커뮤니티
연구자들이 자신의 연구와 전문성을 널리 알리고, 새로운 협력의 기회를 만들 수 있는 네트워킹 공간이에요.
이용수
[표지 & 목차]
[1. 성평등지수, 어떻게 만들어지나?]
왜 성평등지수를 개발하여 측정하는가?
국제 성평등지수 어디서 어떻게 만들고 있나?
우리나라 성평등지수 생산 동향 : 국가성평등지수와 지역성평등지수
[2. 부산의 성평등 수준과 현황]
부산의 성평등 수준과 현황
다른 지역에 비해 우수한 점, 개선할 점
[3. 부산의 성평등한 미래를 위한 대응]
부산이 주도적으로 성평등지수의 지표 수정을 건의해야
성평등지수 향상을 위한 전략적 관리 필요
정책 네트워크 구축과 시민의 호응 유도해야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부산지역 가족 내 성평등 이루어지려면?
부산여성가족 Brief
2019 .06
부산 여성은 건강한가요?
여성우리
2019 .10
부산 여성들의 삶은 안전한가?
여성우리
2020 .04
성평등
여/성이론
2018 .06
노동환경의 성평등 제고로 부산의 여성경제활동 확대
부산여성가족 Brief
2022 .06
부산지역 성평등 문화, 이젠 성평등한 가족문화 확산으로
부산여성가족 Brief
2023 .10
부산 청년일자리 정책, 성평등 관점으로 들여다보기
부산여성가족 Brief
2023 .07
2023년 통계로 보는 부산여성가족의 삶
연구보고서
2023 .12
2021년 통계로 보는 부산여성가족의 삶
연구보고서
2021 .12
부산 시민이 바라는 여성복합공간
부산여성가족 Brief
2023 .11
부산 개항기 여성_성평등 걸음을 내딛다
여성우리
2020 .10
한국의 성평등, 아직 갈 길이 멀다
부산여성가족 Brief
2022 .03
양성평등기본법 시행과 부산의 과제
여성우리
2015 .12
코로나19 속 부산여성가족의 삶, 어떻게 변하고 있을까요?
부산여성가족 Brief
2022 .01
부산 공공부문 여성대표성은 어떠한가요?
여성우리
2018 .10
부산여성의 역사를 담는 여성사전시관, 그 시작을 위해
부산여성가족 Brief
2021 .03
성(불)평등의 측정 가능성과 한계 : 젠더 지수(index)를 중심으로
한국여성학
2018 .12
「부산여성가족통계연보」로 본 여성의 건강
부산여성가족 Brief
2023 .01
코로나-19에 따른 부산여성가족 분야의 변화와 대응
부산여성가족 Brief
2021 .12
[농림축산식품부] 친환경 시설하우스용 전기구동 이식기 개발 최종보고서
국립중앙도서관 연계자료
2017 .01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