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원사업
학술연구/단체지원/교육 등 연구자 활동을 지속하도록 DBpia가 지원하고 있어요.
커뮤니티
연구자들이 자신의 연구와 전문성을 널리 알리고, 새로운 협력의 기회를 만들 수 있는 네트워킹 공간이에요.
이용수
1. 한국 다문화주의의 역설적 국면
2. 다문화주의의 이론과 실천 재고
3. 한국의 ‘다문화’와 다문화주의 비판
4. ‘다문화주의’의 이론적 잠재력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재현된 삶에 투영된 뿌리 깊은 구별 짓기 : 이형식 (2018). 『다문화주의와 영화: 영화로 보는 다른 세상』. 앨피.
다문화사회연구
2020 .02
대안적 디아스포라 이해와 그 이론적 난국 : 임경규 (2018). 『집으로 가는 길: 디아스포라의 집에 대한 상상력』. 앨피.
다문화사회연구
2019 .02
[신간서평] 대안적 사회 가치로서의 “돌봄(Care)” : 버지니아 헬드, 돌봄: 돌봄윤리-개인적, 정치적, 지구적, 김희강 나상원 옮김 (박영사, 2017[2006])
한국사회복지학
2018 .05
의존을 포용하는 평등의 사회를 꿈꾸며 : 에바 페더 키테이,『돌봄: 사랑의 노동 - 여성, 평등, 그리고 의존에 관한 에세이』, 김희강 · 나상원 옮김(1999[2016], 박영사)
한국사회복지학
2022 .02
환경사회학에서 마주치는 ‘환경사’의 낯섦 혹은 친숙함 : 도널드 휴즈. 최용찬 옮김. 2022. 『환경사란 무엇인가?』 앨피
환경사회학연구 ECO
2022 .12
소비지리학 - 소비 장소의 탄생 - 백일순 옮김, 2022, 앨피, 서울, 345쪽 (J. Mansvelt, 2005, Geographies of Consumption, Sage Publications, London, 208p.).
대한지리학회지
2022 .10
플랫폼, 또는 본격 신자유주의 :『플랫폼 레볼루션: 4차 산업혁명 시대를 지배할 플랫폼 비즈니스의 모든 것』. 마셜 밴 앨스타인·상지트 폴 초더리·제프리 파커. 2017. 이현경 옮김. 서울: 부키.
도시연구
2017 .12
카를 야스퍼스, <죄의 문제(Schuldfrage)>(이재승 역, 앨피, 2014)에 대한 서평
법철학연구
2015 .04
빅데이터 및 인공지능을 이용한 고객 구매패턴 연구 : 진도울금 (강황) 중심으로
한국유통학회 학술대회 발표논문집
2018 .04
거리척도와 앙상블 기법을 활용한 지가 추정
지적과 국토정보
2016 .01
말의 힘과 사회적 주술 의례 : 말의 힘에 대한 피에르 부르디외와 주디스 버틀러의 사이의 논쟁을 경유하여
문화와 사회
2018 .12
임금채권보장에 대한 기본권적 접근과 과제 – 2021년 임금채권보장법 개정에 부쳐 –
노동법논총
2022 .12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