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 내서재 .. 알림
소속 기관/학교 인증
인증하면 논문, 학술자료 등을  무료로 열람할 수 있어요.
한국대학교, 누리자동차, 시립도서관 등 나의 기관을 확인해보세요
(국내 대학 90% 이상 구독 중)
로그인 회원가입 고객센터 ENG
주제분류

추천
검색
질문

논문 기본 정보

자료유형
학술대회자료
저자정보
김장욱 (한국철도공사) 도명식 (한밭대학교)
저널정보
한국경영과학회 한국경영과학회 학술대회논문집 한국경영과학회 2016년 춘계공동학술대회 논문집
발행연도
2016.4
수록면
2,810 - 2,816 (7page)

이용수

표지
📌
연구주제
📖
연구배경
🔬
연구방법
🏆
연구결과
AI에게 요청하기
추천
검색
질문

이 논문의 연구 히스토리 (3)

초록· 키워드

오류제보하기
Time series model has been used for a short-term rail travel demand forecasting. However, this sort of the model is inherently limited to explain the impact of railway service changes on travel demand, since it draws its basis from past travel records. Especially, to cope with dynamic transport market and various customer needs, properly managing railway service has become ever more important. While general railways are more accessible than express railways, they suffer from low mobility and vulnerable to social and environmental changes. Rail travel demand forecasting model needs to reflect these characteristics of general railways, which has yet to be done. This study establishes a model that is able to consider socio-economic indicators and the impact of other travel modes. It is found that calibrating an independent model for each rail line can get better model fit than using an integrated model, because the effects of independent variables are different from line to line. Therefore, this research finalizes the forecasting model through selecting significant variables for rail lines from the Saemaeul and Mugunghwa railways. In this study, This will be useful to set new rail line or plan for future rail travel demand.

목차

1. 서론
2. 철도의 수송실적 분석
3. 신뢰성이론을 통한 통행특성 분석
4. 수송수요 변화 추정모형
5. 철도운임 및 통행시간에 대한 강도분석
6. 결론
참고문헌

참고문헌 (0)

참고문헌 신청

함께 읽어보면 좋을 논문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이 논문의 저자 정보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논문

최근 본 자료

전체보기

댓글(0)

0

UCI(KEPA) : I410-ECN-0101-2018-020-00086734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