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 내서재 .. 알림
소속 기관/학교 인증
인증하면 논문, 학술자료 등을  무료로 열람할 수 있어요.
한국대학교, 누리자동차, 시립도서관 등 나의 기관을 확인해보세요
(국내 대학 90% 이상 구독 중)
로그인 회원가입 고객센터 ENG
주제분류

추천
검색
질문

논문 기본 정보

자료유형
학술대회자료
저자정보
김수연 (성균관대학교) 송두삼 (성균관대학교)
저널정보
대한설비공학회 대한설비공학회 학술발표대회논문집 대한설비공학회 2017년도 하계학술발표대회 논문집
발행연도
2017.6
수록면
685 - 688 (4page)

이용수

표지
📌
연구주제
📖
연구배경
🔬
연구방법
🏆
연구결과
AI에게 요청하기
추천
검색
질문

초록· 키워드

오류제보하기
Indoor thermal comfort is influenced by environment factors(temperature, humidity, air velocity, radiant temperature, etc) and personal factors(genders, age, clothing, metabolic rate). Set-point temperature control which is widely applied in indoor thermal environmental control uses dry-bulb temperature as a control variable because of its simple and convenience. But this simple method which is not consider other environment factors like humidity, radiant temperature and air velocity can arouse thermal discomfort and energy over-usage. Many researchers proposed the thermal comfort index such as PMV, ET*, SET*, Adaptive model, ASHRAE Comfort Chart and so on. However, these indices are rarely used as a control logic of indoor thermal environment. In this paper, the thermal environment and energy performance of the control logic in school building will be analyzed by simulation method. The results showed that the energy saving effect of Operative temperature control mode is the most effective, while Wet-bulb temperature mode is the best control method in terms of thermal comfort among the analyzed control logic in school buildings.

목차

Abstract
1. 서론
2. 제어변수 및 제어방법 설정
3. 시뮬레이션 분석
3. 결론
References

참고문헌 (0)

참고문헌 신청

함께 읽어보면 좋을 논문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이 논문의 저자 정보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논문

최근 본 자료

전체보기

댓글(0)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