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원사업
학술연구/단체지원/교육 등 연구자 활동을 지속하도록 DBpia가 지원하고 있어요.
커뮤니티
연구자들이 자신의 연구와 전문성을 널리 알리고, 새로운 협력의 기회를 만들 수 있는 네트워킹 공간이에요.
이용수
1. 문제의 제기
2. 이론적 자원: 민주주의와 미디어화론
3. 한국의 민주화와 언론
4. 결언
참고문헌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정치의 미디어화 : 이론적 검토 및 전망
언론정보연구
2018 .05
‘미디어화’를 통한 정치ᐨ언론 관계의 이론화 : 조항제의 《한국의 민주주의와 언론》(2020)
언론과 사회
2021 .02
미디어 이용과 언론에 대한 부정적 감정 간 관계 탐색 : 미디어 이용 동기, 미디어별 정치뉴스・정보 노출 및 중요성 인식, 그리고 언론의 정치뉴스・정보에 대한 평가를 중심으로
정치커뮤니케이션연구
2024 .06
‘탈언론’ 미디어의 등장과 그 양식, 그리고 공공성 : 알고리즘 미디어에 관한 비판적 소고
한국언론정보학보
2017 .12
한국 시민언론운동의 특성과 전망 : 이명박·박근혜 정권시기를 중심으로
한국언론정보학보
2017 .02
Media Use and Political Participation in China: Taking Three National Large-N Surveys as Examples
Asian journal for public opinion research : AJPOR
2019 .01
한국 언론의 권력화와 위기에 대한 재검토 : 언론・정치 병행성의 구조적 진화와 언론 자율성의 후퇴, 1987~2022
한국사회
2024 .02
언론법학자로서 백암(白巖) 김동철 교수의 생애와 사상
언론과법
2021 .12
탈정치화 시대의 미디어와 민주주의 : 탈정치화 기제로서의 미디어화
한국방송학보
2016 .09
뉴미디어 시대 언론 개념의 특성 및 한계
언론과법
2015 .12
언론을 담다 : 한 권으로 보는 한국 언론 60년
연구보고서
2020 .12
미디어화, 해방과 소외의 파르마콘 : 쿨드리의 미디어화 논의에 대한 비판적 검토
언론정보연구
2018 .05
그래도 “이런” 언론은 있어야
관훈저널
2021 .12
민주화 시대의 언론과 ‘민주주의적 가치’의 후퇴 : 언론인 의식 조사 자료에 대한 검토, 1989∼2013
한국방송학보
2016 .09
《한국의 민주주의와 언론》 비판에 대한 반론 겸 해명
언론과 사회
2021 .11
미디어 정치 분석을 위한 제언 : 정치의 미디어화에 대한 전략관계적 접근
언론과 사회
2023 .11
정보의 풍요와 정치참여의 양극화
한국정당학회보
2016 .03
한국 언론, 얼마나 낡았나_가르치려 드는 언론 통하지 않는 시대
신문과방송
2020 .12
규범적 시대정신과 현실적 이해관계의 충돌: ‘김영란법’ 보도를 통해 살펴본 한국 언론의 담론정치
정치커뮤니케이션연구
2017 .03
역대 정부별 언론정책과 매체 유형별 조정・중재 청구의 변화에 관한 연구: 언론중재위원회 자료를 중심으로
한국행정사학지
2021 .08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