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원사업
학술연구/단체지원/교육 등 연구자 활동을 지속하도록 DBpia가 지원하고 있어요.
커뮤니티
연구자들이 자신의 연구와 전문성을 널리 알리고, 새로운 협력의 기회를 만들 수 있는 네트워킹 공간이에요.
이용수
〈한글요약〉
머리말
Ⅰ. 조선후기 역사찬술과 『三國遺事』 인식
Ⅱ. 조선후기 유교지식인의 『三國遺事』 활용과 가치
Ⅲ. 조선후기 불교계의 『三國遺事』 활용과 가치
맺음말
〈참고문헌〉
〈Abstracts〉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삼국유사』 「흥법」편의 내용과 특징*
한국불교사연구
2023 .06
佛敎 考古學과 美術史에서 『三國遺事』의 활용과 과제
한국고대사연구
2015 .09
[서평] 『조선 불교사상사: 유교의 시대를 가로지른 불교적 사유의 지형』[김용태, 2021, 성균관대학교 출판부]
한국사상사학
2021 .08
조선시대 불교사 시기구분 시론
불교학연구
2015 .01
조선 전기 불상 특징과 조선 후기 17세기로의 이행
한국중세고고학
2019 .12
조선후기 불교소설의 창작과 유통
한국불교사연구
2018 .12
조선후기 불교사 연구 성과의 검토와 과제
역사민속학
2017 .06
중국소설 《西遊記》 번역본의 조선후기 유통에 관한 연구 : 영남대 소장 번역필사본을 중심으로
중국어문논역총간
2017 .01
신라 사상사 연구의 수렴과 확장 : (김복순, 2016, 『신라 사상사 연구』, 景仁文化社)
한국사학보
2019 .08
『삼국유사』설화에 나타난 ‘공감’ 양상과 다문화교육적 의미
어문학
2015 .06
The Spectrum of Studies on the History of Joseon Buddhism and a New Understanding of the Korean Buddhist Tradition
THE REVIEW OF KOREAN STUDIES
2022 .06
『삼국유사』의 동물과 식물 ― 고대 한국인들의 불교적 자연관과 생명관을 중심으로 ―
한국불교사연구
2023 .06
≪삼국유사≫의 편목구성과 삼한·삼국통일론
신라사학보
2017 .12
조선후기 刀劒 素材 科擧 答案사례에 대한 一考察 -「劒策問」과 「劒對策文」을 중심으로-
동방한문학
2020 .01
[서평]『새로 쓰는 17세기 조선 유학사』[강지은, 2021, 푸른역사]
한국사상사학
2021 .08
『삼국유사』의 편목과 일연(一然)의 신라 불교 인식
한국사상사학
2023 .04
일본의 三國遺事 연구동향과 과제
동서철학연구
2019 .01
조선 전기 불사 후원과 후원자 양상 -경기지역을 중심으로-
지방사와 지방문화
2022 .11
삼국유사의 고구려 불교사 서술과 그 한계
사학연구
2018 .06
조선시대 사상문화의 시책과 불교문화 − 조선시대 문화의 이해를 위한 一 試攷 −
동양고전연구
2019 .01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