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인구독
소속 기관이 없으신 경우, 개인 정기구독을 하시면 저렴하게
논문을 무제한 열람 이용할 수 있어요.
지원사업
학술연구/단체지원/교육 등 연구자 활동을 지속하도록 DBpia가 지원하고 있어요.
커뮤니티
연구자들이 자신의 연구와 전문성을 널리 알리고, 새로운 협력의 기회를 만들 수 있는 네트워킹 공간이에요.
이용수
Ⅰ. 들어가며
Ⅱ.『문화재보호법』의 성격
Ⅲ. 지정문화재의 지정행위
Ⅳ. 등록문화재의 등록행위
Ⅴ. 일반문화재의 성립
Ⅵ. 결어
참고문헌
국문초록
ABSTRACT
대법원 1994. 8. 9. 선고 94누3414 판결
가. 국민의권익보호를위한행정절차에관한훈령(1989.11.17. 국무총리훈령 제235호)은 상급행정기관이 하급행정기관에 대하여 발하는 일반적인 행정명령으로서 행정기관 내부에서만 구속력이 있을 뿐 대외적인 구속력을 가지는 것이 아니다.
자세히 보기헌법재판소 2001. 4. 26. 선고 2000헌마122 전원재판부
가. 통상 법률조항이 정관에 위임하고 있는 경우 그 조항 자체가 기본권을 침해하는 것으로 볼 수 없지만, 이 사건에서는 청구인이 그 조항의 규정 형식 자체를 문제삼고 있고, 입법부가 정관에 기본권 관련 사항을 위임할 수 있는지는 특수한 헌법적 성격을 가지므로, 헌법소원의 직접성 요건을 인정함이 상당하다.
자세히 보기대법원 2001. 9. 28. 선고 99두8565 판결
[1] 행정처분에 대한 취소소송에서의 원고적격이 있는지 여부는 당해 처분의 상대방인지 여부에 따라 결정되는 것이 아니라 그 취소를 구할 법률상의 이익이 있는지 여부에 따라 결정되는 것이고, 여기서 말하는 법률상 이익이라 함은 당해 처분의 근거 법률에 의하여 보호되는 직접적이고 구체적인 이익이 있는 경우를 가리키며, 간접적이거나 사실적·경제적
자세히 보기대법원 2016. 1. 28. 선고 2015두52432 판결
자세히 보기대법원 1992. 10. 27. 선고 92누5867 판결
가. 행정청이 국민으로부터 어떤 신청을 받고서 그 신청에 따르는 내용의 행위를 하지 아니한 것이 항고소송의 대상이 되는 위법한 부작위가 된다고 하기 위하여서는 국민이 행정청에 대하여 그 신청에 따른 행정행위를 해 줄 것을 요구할 수 있는 법규상 또는 조리상의 권리가 있어야 하며 이러한 권리에 의하지 아니한 신청을 행정청이 받아들이지 아니하였
자세히 보기대법원 2014. 4. 10. 선고 2012두16787 판결
[1] 구 국유재산법(2009. 1. 30. 법률 제9401호로 전부 개정되기 전의 것, 이하 `구 국유재산법’이라 한다)에서는 변상금 및 연체료의 부과권과 징수권을 구별하여 제척기간이나 소멸시효의 적용 대상으로 규정하고 있지 않으므로, 변상금 부과권 및 연체료 부과권도 모두 국가재정법 제96조 제1항에 따라 5년의 소멸시효가 적용된다. 그리고 구 국유재산
자세히 보기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우리나라 문화재관리와 입법과제
유럽헌법연구
2019 .01
문화재보호법의 문제점과 개선방안 -지역경제의 촉진과 관광문화산업의 활성화 측면에서-
법학연구
2022 .09
현행 문화재보호법상 문화재 행정체계의 발전 방안
법이론실무연구
2015 .04
지방자치단체의 문화재보호 방안에 관한 연구
지방자치법연구
2015 .01
비지정문화재 보호의 모색 - 프랑스 법제와의 비교를 중심으로 -
법학논집
2016 .12
근・현대문화유산의 보존・관리와 등록문화재 제도
경희법학
2017 .01
문화재의 국제거래 관점에서 본 국외소재문화재 정책 검토
국제사법연구
2020 .12
문화재정책 분권화의 유형 연구: 근거이론분석법 적용을 기반으로
문화정책논총
2022 .04
문화관광해설사의 정체성 확립과 문화재 해설 개선 방안
관광연구저널
2020 .08
독일의 새로운 문화재보호법(KGSG)에 관한 고찰
국제사법연구
2022 .12
문화재 주변 도시공간의 활용을 위한 문화재 영향범위 설정 방법
한국도시설계학회지 도시설계
2017 .06
문화재 보호와 문화재향유권의 법리
법학논총
2018 .02
장애인의 문화재 향유권 개선을 위한 공법상 소고
법학논집
2022 .06
문화재에서 문화유산으로: 한국의 문화재 개념 및 역할에 대한 역사적 고찰 및 비판
문화정책논총
2019 .12
법체계적 관점에서의 문화재 관련 법규의 재검토
법학연구
2017 .06
지역 문화관광 자원으로서 향토문화재의 가치 인식과 보존·관리 : 경기도 안양시 향토문화재를 사례로
관광연구저널
2022 .05
조선총독부의 문화재 지정제도 시행과 운영 실태
한국학논총
2024 .02
근현대문화유산 보호를 위한 법정책학적 연구
법학연구
2018 .03
RESTITUTION OF CULTURAL PROPERTIES IN SPAIN: JUDICIAL AND NON-JUDICIAL PROCEEDINGS
국제사법연구
2019 .12
문화재보호 관련 국제협약의 국내적 이행과 전망
法學論文集
2017 .01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