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원사업
학술연구/단체지원/교육 등 연구자 활동을 지속하도록 DBpia가 지원하고 있어요.
커뮤니티
연구자들이 자신의 연구와 전문성을 널리 알리고, 새로운 협력의 기회를 만들 수 있는 네트워킹 공간이에요.
이용수
2018
인용문헌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에밀리 디킨슨 : 고통과 죽음에 대한 역설
새한영어영문학회 학술발표회 논문집
2019 .10
남의 고통을 좀 더 잘 이해하려면 1
제3시대
2018 .01
남의 고통을 좀 더 잘 이해하려면 2
제3시대
2018 .05
나는 고통받는다, 고로 나는 존재한다
월간에세이
2024 .12
스스로가 허한 구원
월간에세이
2022 .06
[삶과 우리말] 우리말은 왜 고통을 겪는가
새국어생활
2017 .09
성소수자 이슈에 자극된 생각들 4 : 잔인한 구원, 무서운 구원
제3시대
2018 .02
에밀리 디킨슨 시의 개성화 과정-분석심리학의 관점에서-
현대영미시연구
2018 .11
당신을 구원할 멘토는 없다
월간에세이
2019 .07
『워더링 하이츠』에 나타난 유토피아와 헤테로토피아 : 1세대 캐서린을 중심으로
19세기 영어권 문학
2019 .03
The Subversive Voices Reversing an Oedipal Situation in William Faulkner’s “A Rose for Emily”
국제언어문학
2016 .04
요한문헌에 나타난 예수 그리스도 죽음의 다차원적 해석에 따른 구원론의 단계들
신학과 철학
2015 .01
레즈비언 여성주의 비평가 아드리안 리치 - ‘특별한여성’의 신화에서 ‘보통 여자’ 에밀리 디킨슨 구해내기
영어영문학
2015 .01
디킨슨과 예이츠의 시에서 드러나는 죽음의 타자성
한국 예이츠 저널
2020 .01
A Study on the Process of Salvation in The Pilgrim’s Progress
영미연구
2017 .01
고통에서 고난으로
성서마당
2021 .03
[아날로그 스토리] 내 삶이 구원되도록
월간에세이
2022 .10
고통에 대해 어떻게 말할 것인가? : 고통 받는 이를 위한 철학 상담의 가능성
인간·환경·미래
2015 .04
파괴가 구원이 되는 비애
월간에세이
2019 .10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