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 내서재 .. 알림
소속 기관/학교 인증
인증하면 논문, 학술자료 등을  무료로 열람할 수 있어요.
한국대학교, 누리자동차, 시립도서관 등 나의 기관을 확인해보세요
(국내 대학 90% 이상 구독 중)
로그인 회원가입 고객센터 ENG
주제분류

추천
검색
질문

논문 기본 정보

자료유형
학술저널
저자정보
김향자 (부산대학교)
저널정보
한국복식학회 복식 복식 제68권 제4호(통권 제211호)
발행연도
2018.6
수록면
90 - 111 (22page)
DOI
10.7233/jksc.2018.68.4.090

이용수

표지
📌
연구주제
📖
연구배경
🔬
연구방법
🏆
연구결과
AI에게 요청하기
추천
검색
질문

초록· 키워드

오류제보하기
This study developes a new style standardized fashion content model to utilize for the job competency standards process, reason out it into an analysis model to understand the convergence styling rules of fashion design, and then develop it into fashion content. The research and analysis examined Mitchell (1993)"s classification of emergent subshapes in design, the emergent profiles concept of Soufi & Edmonds, and the basic style of the application. The Standardized model “new style shapes” is divided into four main categories (A, B, C, and D), and the styles (Explicit Style), that are explicitly closed (A, B, C, and D). The features of the “new style shapes” the standardization model are as follows. First, the standardized definitions of different fashion styles are available. It will makes to solve the limitations of a formal model or indefinable model and analyze and extract most contemporary fashion designs. Second, it is used to determine the style of designers and actively reflect future developments in the trend. Third, it is possible to extend this to more creative and multidisciplinary design education in the analysis, design, and education of contemporary fashion styles by analyzing them with new fragmented style trends.

목차

ABSTRACT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패션 뉴 스타일 쉐입(Fashion New style shapes) 모형 개발
Ⅳ. 시즌별 디자이너별 실루엣 및 뉴스타일 쉐입 유형 분석
Ⅴ. 결론
References

참고문헌 (28)

참고문헌 신청

함께 읽어보면 좋을 논문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이 논문의 저자 정보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논문

최근 본 자료

전체보기

댓글(0)

0

UCI(KEPA) : I410-ECN-0101-2018-381-00310937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