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원사업
학술연구/단체지원/교육 등 연구자 활동을 지속하도록 DBpia가 지원하고 있어요.
커뮤니티
연구자들이 자신의 연구와 전문성을 널리 알리고, 새로운 협력의 기회를 만들 수 있는 네트워킹 공간이에요.
이용수
1. 언론환경의 변화와 표현의 자유
2. 전자민주주의와 직접민주제 도입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자유민주주의와 언론의 역할
한반도선진화재단 기타 단행본
2018 .05
자유민주주의는 없다
현장과광장
2024 .11
한국의 언론 자유를 지키려면?
관훈저널
2021 .12
한일관계에서 언론의 역할
관훈저널
2015 .06
새 정부 언론정책, 민주주의 정책이어야 한다
관훈저널
2022 .06
그래도 “이런” 언론은 있어야
관훈저널
2021 .12
프랑스 언론의 자유는 어디로 나아가는가
언론중재
2021 .03
바이든 정부의 미국 언론은?_민주주의·언론 자유 날개 달고 언론사 트래픽은 줄어들 듯
신문과방송
2021 .01
언론을 담다 : 한 권으로 보는 한국 언론 60년
연구보고서
2020 .12
언론 자유 향상을 위한 법률적 방안
연구보고서
2018 .11
한국 언론, 얼마나 낡았나_가르치려 드는 언론 통하지 않는 시대
신문과방송
2020 .12
민주주의 후퇴시키는 ‘언론개혁’
관훈저널
2021 .03
자유민주주의의 한계와 대안으로서 생태민주주의: 생태민주주의의 관점과 구성요소를 중심으로
국제정치연구
2022 .03
언론학자가 본 언론 현장_뼈아픈 경험이 언론 제도와 문화를 바꿔야
신문과방송
2015 .05
공동체자유주의와 언론의 자유
한반도선진화재단 기타 단행본
2017 .09
제20대 국회와 언론의 역할
관훈저널
2016 .06
민주화 시대의 언론과 ‘민주주의적 가치’의 후퇴 : 언론인 의식 조사 자료에 대한 검토, 1989∼2013
한국방송학보
2016 .09
한국 인구문제와 언론의 역할
관훈저널
2024 .06
언론과 법원의 경계를 허물다 : 유럽인권재판소 · 언론단체 공동 ‘언론 자유 콘퍼런스’
신문과방송
2017 .05
[일본] 정치계와 언론계에 불거진 방송의 정치적 공평성과 언론 자유 문제
신문과방송
2023 .04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