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원사업
학술연구/단체지원/교육 등 연구자 활동을 지속하도록 DBpia가 지원하고 있어요.
커뮤니티
연구자들이 자신의 연구와 전문성을 널리 알리고, 새로운 협력의 기회를 만들 수 있는 네트워킹 공간이에요.
이용수
1. 마키아벨리와 토크빌
2. 야스차 뭉크 『위험한 민주주의』: 자유와 민주주의의 분열
3. 데이비드 런시만 『자만의 덫에 빠진 민주주의』: 민주주의의 진정한 힘
4. 무엇을 할 것인가?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삼각형의 균형은 어떻게 유지되는가? : 조돈문, 『노동시장의 유연성-안정성 균형을 위한 실험 : 유럽연합의 유연안정성 모델과 비정규직 지침』(후마니타스, 2016)
경제와사회
2016 .12
중국 플랫폼의 행동방식 〈이승훈 지음, 와이즈베리〉
중소연구
2020 .05
구체적인 사례를 통해 이끌어내는 조세와 민주주의의 일반적 원리 : 『조세 없는 민주주의의 기원: 1934~60년 세무 기구 분석』 손낙구, 후마니타스, 2022
시민과세계
2022 .12
보수정부 9년 사회복지분야의 적폐와 문재인 정부가 한 일
비판과 대안을 위한 사회복지학회 학술대회 발표논문집
2019 .06
성년의 참여연대, 전환이 필요하다 : 참여연대(조대엽·박영선 엮음), 『감시자를 감시한다: 고장 난 나라의 감시자 참여연대를 말하다』(이매진, 2014) 참여연대(김균 엮음), 『반성된 미래: 무한경쟁시대 이후의 한국 사회』(후마니타스, 2014)
경제와사회
2015 .03
민주주의: 밀과 토크빌
한국정치연구
2015 .01
자기 형성과정으로서 ‘인간의 가치판단’ : ‘후마니타스 칼리지’ 사례
서울행정학회 학술대회 발표논문집
2015 .02
풍부한 각론, 그러나 아쉬운 총론의 부재 : 조돈문·이병천·송원근·이창곤 엮음, 『위기의 삼성과 한국 사회의 선택』(후마니타스, 2014)
경제와사회
2015 .03
[제1장] 왜 민주주의 3.0인가? `선비민주주의`를 향하여
선진화 정책시리즈
2017 .07
기술이 노동 세계를 어떻게 바꿀지에 대한 논리적인 상상『노동의 시대는 끝났다』(대니얼 서스킨드 지음, 김정아 옮김, 2020, 와이즈베리)
산업노동연구
2020 .01
[디지털 민주주의 현재와 미래-②] 디지털 민주주의는 어디까지 왔는가
KISO 저널
2020 .07
자유민주주의는 없다
현장과광장
2024 .11
다시 읽는 토크빌 : 토크빌은 미국을 이해하는데 아직도 유효한가?
사회이론
2019 .05
“민주주의”라는 언어, 제대로 사용되나?
선진화 정책시리즈
2021 .02
지방소멸: 인구감소로 연쇄붕괴하는 도시와 지방의 생존전략 : 마스다 히로야 지음, 김정환 옮김, 와이즈베리, 2015
인천학연구
2016 .02
한국 대학은 민주주의의 적이다
대학: 담론과 쟁점
2016 .12
노동운동의 역사적 합법칙성 연구의 세계적 대작『세계노동운동사 4,5,6』(김금수 2020, 후마니타스)
산업노동연구
2020 .01
생태민주주의의 꿈
한국사회학회 심포지움 논문집
2017 .11
누가 왜 대안을 원하는가? : 한국인의 직접, 대표제, 전문가 민주주의 지지
한국정당학회보
2018 .12
자유민주주의의 한계와 대안으로서 생태민주주의: 생태민주주의의 관점과 구성요소를 중심으로
국제정치연구
2022 .03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