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 내서재 .. 알림
소속 기관/학교 인증
인증하면 논문, 학술자료 등을  무료로 열람할 수 있어요.
한국대학교, 누리자동차, 시립도서관 등 나의 기관을 확인해보세요
(국내 대학 90% 이상 구독 중)
로그인 회원가입 고객센터 ENG
주제분류

추천
검색
질문

논문 기본 정보

자료유형
학술저널
저자정보
변성영 (중앙노동위원회)
저널정보
한국노동법학회 노동법학 노동법학 제68호
발행연도
2018.12
수록면
1 - 26 (26page)

이용수

표지
📌
연구주제
📖
연구배경
🔬
연구방법
🏆
연구결과
AI에게 요청하기
추천
검색
질문

초록· 키워드

오류제보하기
If the party fixed-term contract has set a ‘specific requirement’ for renewal of contracts, then both the relative evaluation standard and the absolute evaluation criteria will have a validity as a criterion for judging whether or not they are renewed, unless they deviate from the purpose of determining the ‘certain requirement’.
Relative evaluation is based on the following criteria: (1) Whether the relevant relative evaluation meets the criteria for judging whether or not the ‘certain requirement’ set by the party is met; (2) Whether the requirement has been agreed between the parties; and (3) Whether relative evaluation is objectively or fairly, and (4) Whether relative evaluation is objectively or fairly in general.
The present renewal expectation right is merely the right of interpretation of the contract, which can only be recognized when the contract between the parties can be revealed in the interpretation of the contract that the contract is renewed if certain requirements are met.
In the future, the renewal expectation right jurisprudence should move toward giving legal rights to workers` reasonable expectation.
If short-term contracts are repeated, if there is renewal of contracts practice of the same type of worker, if there are objective circumstances that renewal of contracts can expect, such as when there are renewal of contracts requirements and procedures even if they are not specific, There is a need to give legal rights to workers` reasonable expectations regarding renewal.
If renewal expectation right is reborn as a more valid right as a right based on an act that is not an incomplete right by the interpretation of the contract, then the worker`s renewal of contracts, by the obstacles set by the user under the name "requirements set by the parties" There will be no interruption of rational expectations.

목차

Ⅰ. 들어가며
Ⅱ. 갱신 무기계약 전환 기대권의 인정
Ⅲ. 갱신 무기계약전환 거절의 정당성
Ⅳ. 상대평가에 의한 갱신거절의 정당성
Ⅴ. 나오며
참고문헌
Abstract

참고문헌 (19)

참고문헌 신청

이 논문과 연관된 판례 (5)

  • 대법원 2015. 6. 24. 선고 2013다22195 판결

    자세히 보기
  • 대법원 2014. 2. 13. 선고 2011두12528 판결

    [1] 기간을 정하여 근로계약을 체결한 근로자의 경우 기간이 만료됨으로써 근로자로서 신분관계는 당연히 종료되고, 근로계약을 갱신하지 못하면 갱신 거절의 의사표시가 없어도 당연 퇴직되는 것이 원칙이다. 그러나 근로계약, 취업규칙, 단체협약 등에서 기간이 만료되더라도 일정한 요건이 충족되면 당해 근로계약이 갱신된다는 취지의 규정을 두고 있거나, 그러한 규정이

    자세히 보기
  • 대법원 2017. 10. 12. 선고 2015두44493 판결

    [1] 기간을 정하여 근로계약을 체결한 근로자의 경우 기간이 만료됨으로써 근로자로서의 신분관계는 당연히 종료되는 것이 원칙이다. 그러나 근로계약, 취업규칙, 단체협약 등에서 기간만료에도 일정한 요건이 충족되면 당해 근로계약이 갱신된다는 취지의 규정을 두고 있거나, 그러한 규정이 없더라도 당해 근로관계를 둘러싼 여러 사정을 종합할 때 근로계약 당사자

    자세히 보기
  • 대법원 2016. 11. 10. 선고 2014두45765 판결

    [1] 기간을 정하여 근로계약을 체결한 근로자의 경우 기간이 만료됨으로써 근로자로서의 신분관계는 당연히 종료되는 것이 원칙이다. 그러나 근로계약, 취업규칙, 단체협약 등에서 기간만료에도 불구하고 일정한 요건이 충족되면 근로계약이 갱신된다는 취지의 규정을 두고 있거나, 그러한 규정이 없더라도 근로관계를 둘러싼 여러 사정을 종합하여 볼 때 근로계약 당

    자세히 보기
  • 대법원 2011. 11. 10. 선고 2010두7628 판결

    자세히 보기

함께 읽어보면 좋을 논문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이 논문의 저자 정보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논문

최근 본 자료

전체보기

댓글(0)

0

UCI(KEPA) : I410-ECN-0101-2019-336-00029043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