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 내서재 .. 알림
소속 기관/학교 인증
인증하면 논문, 학술자료 등을  무료로 열람할 수 있어요.
한국대학교, 누리자동차, 시립도서관 등 나의 기관을 확인해보세요
(국내 대학 90% 이상 구독 중)
로그인 회원가입 고객센터 ENG
주제분류

추천
검색
질문

논문 기본 정보

자료유형
학술저널
저자정보
이효원 (한국외대)
저널정보
글로컬창의산업연구센터 글로컬 창의 문화연구 글로컬창의문화연구 제7권 제2호 (통권 제12호)
발행연도
2019.1
수록면
5 - 20 (16page)

이용수

표지
📌
연구주제
📖
연구배경
🔬
연구방법
🏆
연구결과
AI에게 요청하기
추천
검색
질문

초록· 키워드

오류제보하기
The body discourse sparked by Merleau-Ponty was summarized by Ficher- Lichte, which was positively revealed at the street art festival. In the “Seoul Street Arts Festival in 2018”, the analysis of the works that showed the body"s performance revealed the characteristics of physicality, materiality, body coexistence of performer and audience, and community in performance space. The absolute focal point of these performances is the "body". The performer completes his expression through the body, and the audience reveals his identity through the induction or voluntary performance of the body. And the performative interchange of performers and audiences brings out the identity of the performance itself. What is important in artistic self-expression in global literary discourse is not “globalization from above and globalization from below<SUP>(Peter L. Callero 2008: 1978-1979</SUP>)”, but globalization from perception and globalization from body.

목차

Abstract
1. 서론
2. 메를로-퐁티와 피셔-리히테의 몸의 담론
3. 서울거리예술축제에 드러난 몸의 수행성
4. 결론 - ‘수행적 몸을 통한 정체성 발현’에 대한 논의를 희망하며
참고문헌

참고문헌 (0)

참고문헌 신청

이 논문의 저자 정보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논문

최근 본 자료

전체보기

댓글(0)

0

UCI(KEPA) : I410-ECN-0101-2019-331-0005137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