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 내서재 .. 알림
소속 기관/학교 인증
인증하면 논문, 학술자료 등을  무료로 열람할 수 있어요.
한국대학교, 누리자동차, 시립도서관 등 나의 기관을 확인해보세요
(국내 대학 90% 이상 구독 중)
로그인 회원가입 고객센터 ENG
주제분류

추천
검색
질문

논문 기본 정보

자료유형
연구보고서
저자정보
김원정 (서울시여성가족재단) 최유정 (서울시여성가족재단)
저널정보
서울시 여성가족재단 서울시 여성가족재단 연구사업보고서 [2018 정책연구-23] 아동친화도시 조성을 위한 아동참여 확산 방안 마련
발행연도
2018.12
수록면
1 - 181 (181page)

이용수

표지
📌
연구주제
📖
연구배경
🔬
연구방법
🏆
연구결과
AI에게 요청하기
추천
검색
질문

초록· 키워드

오류제보하기
This study was designed to improve the quality and quantity of children"s participation in the Seoul government’s transformation of Seoul into a child-friendly city. In particular, we created a plan for the participation of children in the ‘child impact assessment’, which assesses the effects on children of the Seoul Metropolitan Government’s policies and regulations.
First, we examined cases of child participation in the establishment of child-friendly cities and areas overseas and in South Korea. We particularly focused on Seongbuk-gu, Gangdong-gu, and other autonomous districts of Seoul that have already introduced child impact assessments, and drew implications from them for the Seoul Metropolitan Government. Second, we reviewed Seoul’s existing government participation organizations and projects for children and youth, and summarized some suggested measures for improving them. Third, we chose some of the Seoul government’s projects related to housing as pilot projects for the child impact assessment, and held a workshop for children and adolescents to conduct their own assessments of the projects.
Based on our findings, we proposed the following measures to improve the process of transforming Seoul into a child-friendly city: the formation of a children"s and youth council; the establishment of online and offline spaces for children"s participation in city government; and the creation of a training and public relations system to promote child participation.
We also recommended setting up a monitoring team to ensure children’s and youths’ participation in the child"s impact assessment. We have proposed a process in which the monitoring team is directly involved from the stage of selecting the project to be evaluated to the stage of checking whether the results of the assessment are reflected in the project.

목차

[표지]
[발간사]
[목차]
표 목차
그림 목차
[연구요약]
Ⅰ. 연구배경 및 목적
Ⅱ. 아동참여 사례 및 기존 영향평가 시민참여 사례
Ⅲ. 서울시 아동참여 기구・사업 현황
Ⅳ. 아동참여 평가 시범사업 실행 결과
Ⅴ. 서울시 아동친화도시 아동참여 확산 방안
[Ⅰ. 서론]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2. 연구 내용 및 구성
3. 연구 방법
4. 연구 추진체계
[Ⅱ. 아동참여 사례 및 기존 영향평가 시민참여 사례]
1. 국내외 아동참여 사례
2. 기존 영향평가 시민참여 사례
3. 평가 및 시사점
[Ⅲ. 서울시 아동참여 기구・사업 현황]
1. 서울시 아동참여 기구 현황
2. 서울시 아동참여 사업 현황
3. 평가 및 시사점
[Ⅳ. 아동참여 평가 시범사업 실행 결과]
1. 서울시 아동영향평가 체계 및 아동참여 방안(안)
4. 아동참여 모니터링단 시범운영 결과
2. 아동참여 평가 시범사업 개요
3. 아동 의견수렴조사 개요 및 결과
5. 평가 및 시사점
[Ⅴ. 서울시 아동친화도시 아동참여 확산 방안]
1. 아동친화도시 아동참여 확산 방안
2. 아동영향평가 시 아동참여 방안
[참고문헌]
[Abstract]
[부록]

참고문헌 (0)

참고문헌 신청

함께 읽어보면 좋을 논문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이 논문의 저자 정보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논문

최근 본 자료

전체보기

댓글(0)

0

UCI(KEPA) : I410-ECN-0101-2019-337-00077316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