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원사업
학술연구/단체지원/교육 등 연구자 활동을 지속하도록 DBpia가 지원하고 있어요.
커뮤니티
연구자들이 자신의 연구와 전문성을 널리 알리고, 새로운 협력의 기회를 만들 수 있는 네트워킹 공간이에요.
국문 요약
1. 들어가며
2. 서술 주체의 비평적 시각 확보 : 민병휘의 경우
3. 대상 작가와 서술 주체 사이의 문학적 대화 : 임화, 백철, 박영희의 경우
4. 나오며
참고 문헌
Abstract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나는 작가다
수필미학
2020 .06
시조집 한 병, 잘 마시기 위한 법칙 - 백이운, 『달에도 시인이 살겠지』(책만드는집, 2019)/최영효, 『컵밥 3000 오디세이아』(작가, 2018)
시조시학
2019 .06
확장, 변주하는 미주작가의 글쓰기 - 박인애 외 7인,《작가라는 이름으로》(작가, 2024)
수필미학
2025 .03
[작가론] 그것이 바로 나였다니……
자음과모음
2015 .12
[작가의 방] 세 개의 방
계간 미스터리
2021 .09
[작가론] 살아 있는 것은 다 아름답다
푸른사상
2024 .09
국어 교육에서 ‘창작 의도’를 다루는 방식에 대한 비판적 고찰
한국학연구
2017 .09
[작가의 방] 작가라서 더 좋은 독자가 될 수 있었다
계간 미스터리
2020 .08
나는 여성 작가입니다
창비어린이
2017 .06
기독교 소재 김동리 소설의 다성적 작가의식: 샤머니즘 의식과 기독교 의식의 경합 양상을 중심으로
문학과 종교
2018 .01
한국근대작가론의 초기 풍경 : 1920년대 작가 인상기(印象記)의 등장과 의미
현대소설연구
2016 .09
좋은 독자, 좋은 작가
월간에세이
2019 .08
[작가를 말한다] 유쾌한 기억들
수필미학
2019 .03
[작가의 방] 창작의 방
계간 미스터리
2021 .12
제도로서의 작가의 형성 과정 연구 : 1920년대 전후의 현상문예와 동인지의 작가 견인 방식을 중심으로
현대소설연구
2017 .12
[작가론] 시간을 반복하는 일
청색종이
2022 .03
근대문단 형성기 작고 작가 애도문(哀悼文) 연구 : 한국근대작가론의 형성 과정과 관련하여
현대소설연구
2016 .12
일본문학 속 외국인 작가들의 작품과 비평 양상에 대한 분석 -2000년대 이후 아쿠타가와상 후보작을 대상으로-
동서인문
2021 .04
일본 작가들은 기록으로 남겼다
숙명문학
2016 .11
알렉산드르 2세 시기 러시아 출판환경과 작가
노어노문학
2015 .12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