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원사업
학술연구/단체지원/교육 등 연구자 활동을 지속하도록 DBpia가 지원하고 있어요.
커뮤니티
연구자들이 자신의 연구와 전문성을 널리 알리고, 새로운 협력의 기회를 만들 수 있는 네트워킹 공간이에요.
요약
ABSTRACT
Ⅰ. 서론
Ⅱ. 이론적 고찰과 선행연구 검토
Ⅲ. 대중매체로 본 을지로 3·4가 활성화의 양상과 특징
Ⅳ. 인스타그램 위치정보 데이터 추출과 구축
Ⅴ. 인스타그램 위치정보 데이터를 이용한 을지로 3·4가 활성화의 실증분석
Ⅵ. 결론과 시사점
참고문헌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관계맺기에서 정보찾기까지: 대학생들의 인스타그램 이용에 관한 탐색적 연구
사회과학논총
2020 .12
이용과 충족이론에 기반한 인스타그램의 사진공유 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경영과 정보연구
2020 .01
20대 직장인여성의 뷰티인스타그램 정보이용행동이 정보신뢰도 및 외모관리행동에 미치는 영향 -인스타그램 이용특성을 중심으로-
인문사회 21
2020 .01
푸드 인스타그램 품질 속성이 신뢰 및 재방문 의도에 미치는 영향
호텔경영학연구
2021 .10
계획된 행동이론과 SNS 리터러시를 적용한 대학생들의 인스타그램 지속이용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탐색 : 이용자 집단 간 차이를 중심으로
한국방송학보
2019 .05
인스타그램 음식콘텐츠 정보품질과 유용성, 만족도, 지속사용의도 관계에 관한 연구: 후기수용모델을 적용하여
호텔경영학연구
2020 .12
인스타그램 웹툰 이용 동기와 상호작용성이 이용 만족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한국출판학연구
2024 .09
푸드 인스타그램의 이용 동기가 몰입, 만족 및 재방문 의도에 미치는 영향
호텔경영학연구
2020 .12
글로벌 패션 브랜드의 인스타그램 광고 이미지 특성 분석: 페이스북과의 비교를 통하여
소비문화연구
2021 .09
주목 경제 시대의 ‘한국 알리기’ ― 유학생의 인스타그램 활용 문화에 관한 연구 ―
디아스포라연구
2023 .06
SNS 이용강도와 우울의 관계에서 인지적 유연성에 의해 조절된 상향비교의 매개효과: 인스타그램을 중심으로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2017 .01
Effects of Young Adolescents’ Exposure to Luxurious Lifestyles on Instagram: Social Media Literacy Education Can Make a Difference
한국소통학보
2019 .01
인스타그램 포스트가 대학 운동선수들의 내재적 운동 동기에 미치는 영향 : 희망의 매개와 성별의 조절 효과를 중심으로
한국소통학보
2024 .02
청년세대의 새로운 문화적 실천과 구별짓기: 인스타그램 ‘전시 관람’을 중심으로
인문사회 21
2020 .01
소비자의 여성성 수준이 인스타그램 내 제품에 대한 반응에 미치는 효과: 인스타그램에 대한 여성성 지각과 자기감시의 조절적 역할을 중심으로
광고학연구
2023 .02
인스타그램 사용 욕구가 항공 승객의 행동의도에 미치는 영향 : ERG 이론과 ETPB 모델 적용
관광연구저널
2021 .01
영미권 국립보존기록관 인스타그램의 기록정보콘텐츠 사례 연구
한국기록관리학회지
2023 .05
인스타그램에서 포스팅이 긍정감정과 인터넷 친사회행동에 미치는 영향
언론정보연구
2025 .02
인스타그램 마켓 이용 행태와 이용 동기 탐색: 20-30대 여성을 중심으로
광고학연구
2020 .01
여대생의 인스타그램 뷰잉(Viewing)활동이 신체비교 및 신체만족도를 통해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영향
한국심리학회지: 발달
2019 .01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