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 내서재 .. 알림
소속 기관/학교 인증
인증하면 논문, 학술자료 등을  무료로 열람할 수 있어요.
한국대학교, 누리자동차, 시립도서관 등 나의 기관을 확인해보세요
(국내 대학 90% 이상 구독 중)
로그인 회원가입 고객센터 ENG
주제분류

추천
검색

논문 기본 정보

자료유형
학술저널
저자정보
저널정보
한국경찰연구학회 한국경찰연구 한국경찰연구 제14권 제2호
발행연도
2015.1
수록면
91 - 118 (28page)

이용수

표지
📌
연구주제
📖
연구배경
🔬
연구방법
🏆
연구결과
AI에게 요청하기
추천
검색

초록· 키워드

오류제보하기
1960년대 이후 한국사회의 가장 큰 변화 중의 하나는 급속한 도시화 과도한 인구집중이었다. 이러한 급속한 도시화는 여러 도시문제 특히, 범죄문제를 야기시켜 심각한 사회문제로 대두되고 있다. 구미시의 경우 또한 도시화와 공업화로 인하여 범죄문제가 지역사회의 불안요소로 자리잡아가고 있다. 특히 구미시의 경우 농촌지역과 공업도시지역이 병존하는 도농복합도시로서 맞벌이 부부 및 1인가구 비율이 높은 지역으로, 이로 인한 다양한 사회문제 발생가능성이 높다. 또한 분산적인 도시구조로 인하여 계획적인 도심개발이 이뤄지지 못하여 시민의 범죄두려움에 취약하다. 이에 주민들의 주거특성과 요구를 반영한 범죄예방대책이 필요하다. 예를 들어 잠재적 범죄자의 범죄심리를 위축시켜 범죄유발 요인을 사전에 제거할 수 있는 범죄예방디자인(CPTED)을 적용하여 주민 서로가 서로에게 관심을 갖게 되고 모두의 안전을 위한 전략을 수립하여야 할 것이다. 마지막으로 도농간의 특성을 고려한 범죄예방전략이 고려되어야 할 것이다. 즉 도심지역이냐 농촌지역이냐 또는 주거지역이냐 상업지역이냐 등에 따라 경찰의 순찰활동 변화 및 다양한 ICT 기술을 활용한 범죄예방기법이 논의되어야 할 것이다. 나아가 지역유관기관과의 공조체계를 통한 치안거버넌스가 구축되어야 한다.

목차

등록된 정보가 없습니다.

참고문헌 (27)

참고문헌 신청

함께 읽어보면 좋을 논문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이 논문의 저자 정보

최근 본 자료

전체보기

댓글(0)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