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원사업
학술연구/단체지원/교육 등 연구자 활동을 지속하도록 DBpia가 지원하고 있어요.
커뮤니티
연구자들이 자신의 연구와 전문성을 널리 알리고, 새로운 협력의 기회를 만들 수 있는 네트워킹 공간이에요.
1. 50% 연구자, 50% 활동가
2. 강릉이라는 중소도시의 계급지도
3. 중이 되지 못한 유령, 사회학으로의 길
4. 위스콘신대가 만든 계급론 연구자
5. 귀국 후 진보학계 연구자로 편입되다
6. 사회운동 참여: 보이지 않는 성과, 뼈저린 모멸감
7. 정년을 목전에 두고 겪는 갱년기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계급
현장과광장
2021 .05
[활동가 운동장] 노동안전보건 활동가 - 되기
일터
2022 .12
계급불평등을 계급투쟁으로!
뉴 래디컬 리뷰
2019 .09
지역활동가가 바라본 지역활성화 사업
한국지역지리학회 학술대회발표집
2023 .05
21세기 자본주의에서 계급개념은 유효한가? : 사회계급에 대한 이론적 고찰
한국사회학회 사회학대회 논문집
2017 .12
마르크스주의 계급론과 노동자 계급의 결정적 중요성
마르크스21
2016 .07
[활동가 운동장] 안전한 현장을 만드는 길
일터
2023 .05
[활동가 운동장] 나는 오늘 누군가의 카메라에 갇혔다
일터
2022 .08
[활동가 운동장] 노동안전 활동으로 보낸 힘찬 1년
일터
2023 .03
해양쓰레기 줍기를 통한 삶의 변화: 제주도의 환경활동가 B씨의 내러티브 연구
한국환경교육학회 학술대회 자료집
2024 .12
[활동가 운동장] 누구나 안전하고 건강하게 일할 권리를 위해
일터
2022 .07
민족문제에 대한 계급적 접근을 위하여
노동사회과학
2020 .11
한국의 정당정치와 ‘배제된 청년’: 청년 정당 활동가들의 ‘배제의 경험’과 그 제도적 대안
비판사회학회 학술대회 자료집
2024 .08
노동계급이 가장 중요한 이유는 무엇인가?
마르크스21
2016 .07
계급을 지나치지 않는 방법 : 노동의 사회적 재생산과 세계 노동계급
마르크스주의 연구
2019 .11
2023 청년정책의제 : 다차원 빈곤과 연구활동가
LAB2050 연구보고서
2023 .10
일본 외국인 지원 NGO 활동가의 실천경험에 관한 연구
한국사회복지학회 학술대회 자료집
2019 .10
역사, 계급, 그리고 사회주의
노동사회과학
2020 .05
대구지역 시민사회단체 활동에 관한 연구 : 활동가의 경험과 대학생의 평가
한국사회학회 사회학대회 논문집
2015 .12
[활동가 운동장] 소수가 만들어낸 우아한 투쟁
일터
2024 .06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