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연구는 무용전공 대학생들의 정서와 내적동기가 신체적 자기개념에 어떠한 영향을 주는가를 파악해보고 규명 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2010년 현재 4년제 대학에서 무용을 전공하는 대학생을 대상으로 선정하여 유의표집 방법을 활용하여 총 330부의 자료가 최종 분석에 사용되었다. 조사도구로는 구체적으로 자기평가 기입법에 기초한 구조화된 설문지를 사용하였으며 배경변인으로 개인적 특성, 독립변인으로 정서, 매개변인으로 내적동기, 그리고 종속변인으로 신체적 자기개념으로 설정하었다. 자료처리를 위한 통계분석 방법은 SPSS Win ver. 17.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분석․처리하였으며, 각 가설의 유의수준 a=.05수준에서 검증하였다. 그리고 무용전공 대학생들의정서와 내적동기가 신체적 자기개념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기 위해서 빈도분석, 탐색적 요인분석, 신뢰도분석, 상관관계분석 및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이와 같은 절차와 방법을 이용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도출하였다. 첫째, 무용전공 대학생들의 정서의 하위요인인 긍정적정서의 자부심, 행복, 부정적정서의 분노는 내적동기의 재미, 유능, 노력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부정적정서의 불안은 내적동기의 긴장이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무용전공 대학생들의 내적동기의 하위요인인 재미, 유능은 신체적 자기개념의 근력, 지구력, 신체활동, 유연성, 무용 유능감, 외모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유능은 신체전반이 가장 큰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내적동기의 하위요인인 노력, 긴장은 신체적 자기개념의 자기 존중감, 체지방, 건강, 신체활동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무용전공 대학생들의 정서의 하위요인인 긍정적정서 자부심, 행복은 신체적 자기개념의 근력, 지구력, 신체활동, 유연성, 신체전반, 외모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부정적정서의 분노, 불안은 신체적 자기개념의 자기 존중감, 건강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신체적 자기개념의 무용 유능감, 체지방은 긍정적 정서와 부정적 정서 모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결과를 종합해보면 무용전공 대학생들의 정서와 내적동기가 신체적 자기개념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임을 증명하고 있다. 따라서 정서와내적동기간의 긍정적인 영향관계를 규명하여 무용전공 대학생들의 신체적 자기개념 지식을보다 효과적으로 인식할 수 있도록 정보를 제공함을 시사하고 있다.
This study aims to examine and identify the impact of emotion and internal motivation in the dance-major students on the physical self-concept. The study subjects were the dance-major college students in their 4th year of study as purposive sampling method and sampled. The total number of questionnaire collected for the final analysis was 330. The data was submitted to SPSS Win Ver. 17.0 for the statistical analysis. The analyses were conducted using the following methods at the significance level of α=.05.
The following results were obtained through the above-mentioned procedures and methodology. First, the sub-factors of the emotion variable for dance-major college students - positive emotion, pride, happiness, negative emotion and anger - have significantly positive impact on the fun, competency and effort in the internal motivation. In particular, the tension of internal motivation has the greatest impact on the negative emotional anxiety.
Second, the sub-factors of emotion for the dance-major college students - positive emotion, pride and happiness - have significant impact on the muscular strength, endurance, physical activities, flexibility, and overall physical body and appearance.
Anger and anxiety of the negative emotion have the greatest impact on the self-respect and health. In particular, both dance competence and body fat have significant impact on both the positive and negative emotions.
Third, the sub-factors of the internal motivation for the dance-major college students - fun and competence - have statistically significant impact on the muscular strength, endurance, physical activities, flexibility, dance competence and appearance in the self-concept. In particular, the overall physical body has the greatest impact on the competence. The self-respect, body fat, health and physical activities have the greatest impact on a sub-factor of internal motivation, tens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