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원사업
학술연구/단체지원/교육 등 연구자 활동을 지속하도록 DBpia가 지원하고 있어요.
커뮤니티
연구자들이 자신의 연구와 전문성을 널리 알리고, 새로운 협력의 기회를 만들 수 있는 네트워킹 공간이에요.
이용수
DBpia Top 10%동일한 주제분류 기준으로
등록된 정보가 없습니다.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인류세의 사회이론 1: 파국과 페이션시(patiency)
과학기술학연구
2019 .11
한국에서 인류세를 어떻게 연구할 것인가: DMZ 사례
한국과학기술학회 학술대회
2019 .05
인류세 위기의 시간성: 정착식민주의와 토착페미니즘의 시각
한국과학기술학회 학술대회
2019 .05
인류세 논의의 역사와 의미: 인류세는 왜 공식 지질시대가 되지 못했나?
과학기술과 사회
2024 .12
포커스 그룹 인터뷰(FGI)를 활용한 학부생들의 인류세 인식과 경험에 대한 질적 연구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2022 .05
신인간중심주의로 조명한 인류세 논의
과학기술학연구
2019 .03
인류세 담론과 문학생태학
한국과학기술학회 학술대회
2016 .05
디지털 인류세: 생태위기와 전환을 매개하기
한국과학기술학회 학술대회
2023 .06
“가이아 이론과 인류세”
과학기술학연구
2022 .03
인류세 시대의 생태안보
인간과 평화
2022 .09
인류세 시대의 컴퓨팅: 인간과 지구를 매개하는 컴퓨팅 기술
과학기술학연구
2020 .03
차크라바르티, 과학주의와 인류세의 반정치(Anti-Politics)
한국과학기술학회 학술대회
2023 .12
[토론문] 파국을 이겨내는 낙관과 지속가능한 원헬스
과학기술과 사회
2022 .06
인류세 담론으로 본 스칸디나비아 디자인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2020 .04
포스트휴먼 조울증
과학기술학연구
2020 .07
캐서린 유소프의 「10억 개 혹은 0개의 흑인 인류세」로 본 근대 지질학의 인종주의 정치학
현상과인식
2023 .09
인류세 환경론과 전원주의 : 과학기술적 낙관론과 인문환경론적 ‘녹색피로증’ 극복하기
한국과학기술학회 학술대회
2016 .05
포항지진은 인류세적 현상인가? 지층에 대한 직접적 개입의 결과로서 포항지진
한국과학기술학회 학술대회
2019 .05
인류세 맥락화하기: 포항 ‘촉발지진’의 사회적 구성
과학기술학연구
2019 .11
가장 큰 적(하이퍼객체)과 가장 작은 적(나노객체) 사이에서 살아남기 : 라투르의 말기 사상과 인류세, 그리고 나노객체의 과학기술학
한국과학기술학회 학술대회
2022 .11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