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원사업
학술연구/단체지원/교육 등 연구자 활동을 지속하도록 DBpia가 지원하고 있어요.
커뮤니티
연구자들이 자신의 연구와 전문성을 널리 알리고, 새로운 협력의 기회를 만들 수 있는 네트워킹 공간이에요.
이용수
등록된 정보가 없습니다.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영화를 읽다] 해는 졌지만, 나는 지지 않았다
월간에세이
2022 .01
영화를 찍다
수필미학
2016 .12
[영화를 읽다-10회] 나는 좀 살아야겠다
월간에세이
2022 .10
[영화를 읽다-19회] 굽이굽이 돌아도 멈추지 않는다
월간에세이
2023 .06
[영화를 읽다] 잘 지내고 계신가요?
월간에세이
2022 .03
체홉과 영화
한국노어노문학회 학술대회 발표집
2016 .10
[영화를 읽다-3회] 영화 속 가장 기이했던 이미지
월간에세이
2023 .11
1960년대 문화영화 정책과 그 방향
역사연구
2020 .05
‘민족-영화’ 개념의 변천 : ‘조선영화’에서 ‘코리안시네마’까지
탐라문화
2017 .10
유럽, 북미에서 한국영화의 경쟁력 요인 연구 : 외국인 전문가 심층 면접을 중심으로
인문콘텐츠
2024 .06
2000년대 스포츠영화 여성 캐릭터의 특성과 서사적 의미 - <킹콩을 들다>를 중심으로
인문연구
2022 .12
중국영화시장 발전과 21세기 영화시장 변화에 대한 역사적 고찰 -국내, 중화권, 글로벌 영화시장을 중심으로-
중국학논총
2022 .03
한국의 다문화 영화 : 장르적 접근
인문콘텐츠
2015 .03
해방기 한국영화의 기술 여건과 입지 변화의 양상 연구
석당논총
2020 .01
[영화: ‘PAPER스러운’ 영화를 소개합니다] 타자 치는 스누피가 선별한 네 편의 ‘PAPER스러운’ 영화
PAPER
2020 .12
[영화를 읽다] <우리들>
유레카
2016 .11
매체 전환의 의도와 효과-『세동무』, 『젊은이의 노래』를 중심으로
국어문학
2020 .03
[영화를 읽다-5회] 꿈꾸는 존재이기에 쓸 수 있는 것들
월간에세이
2024 .01
한·중 영화 교류의 역사와 미래
한중인문학포럼 발표논문집
2016 .11
상상의 모양, 영화적인 것과 영화적 세계 사이 (영화의 탈매체성 연구)
새한영어영문학회 학술발표회 논문집
2018 .10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