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원사업
학술연구/단체지원/교육 등 연구자 활동을 지속하도록 DBpia가 지원하고 있어요.
커뮤니티
연구자들이 자신의 연구와 전문성을 널리 알리고, 새로운 협력의 기회를 만들 수 있는 네트워킹 공간이에요.
이용수
일곱 개의 장면
‘법질서’의 역설
촛불은 ‘사건’이었는가
촛불은 ‘질서 회복 운동’
2017 대선의 의미: 신보수의 좌절
박정희 레짐
촛불 이후, 무엇을 할 것인가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다시 바로 서는 촛불
문학들
2017 .02
촛불 외 1편
시조시학
2015 .12
촛불 외 1편
시조시학
2017 .03
촛불
수필미학
2021 .09
촛불과 혁명
철학과 현실
2018 .12
누가 촛불을 들고 어떻게 싸웠나 : 2016/17년 촛불항쟁의 문화정치와 비폭력 · 평화의 문제
역사비평
2017 .02
촛불혁명과 교회와 나
세계와선교
2017 .12
너에게 촛불집회는
제3시대
2016 .12
촛불 민주주의 시대의 문화적 역동 : 천정환의 『촛불 이후, K-민주주의와 문화정치』
문화과학
2020 .09
사건 이후의 사건 – 촛불이 열어 놓은 시적 경로들
문학들
2018 .02
촛불은 촛불, 이야기는 이야기, 민들레는 민들레
문학들
2017 .02
촛불투쟁과 국가 -국가론 논쟁을 중심으로-
현대사상
2019 .09
문명과 촛불
문명과 경계
2018 .12
촛불은 체리향기가 되어
제3시대
2016 .12
[생각의 틈] 촛불을 패러디한 시
유레카
2017 .12
그들이 대중을 다루는 아주 오래된 방식 : 촛불은 보수 자유주의 정치세력을 넘을 수 있을까
문화과학
2017 .03
민주당은 왜 그럴까 : 그들이 촛불을 ‘배신’한 이유
황해문화
2022 .09
[목회마당] 촛불을 바라보는 세 가지 시퀀스
제3시대
2017 .08
시민혁명 2년, 보수언론의 ‘촛불’ 쟁탈전
인물과사상
2018 .12
촛불시위, 대통령 탄핵과 한국 정치의 새 국면
황해문화
2017 .03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