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원사업
학술연구/단체지원/교육 등 연구자 활동을 지속하도록 DBpia가 지원하고 있어요.
커뮤니티
연구자들이 자신의 연구와 전문성을 널리 알리고, 새로운 협력의 기회를 만들 수 있는 네트워킹 공간이에요.
이용수
Ⅰ. 들어가기
Ⅱ. 연구의 범위와 대상
Ⅲ. 언어이론별 한·중 언어 대조연구
Ⅳ. 연구의 성과와 한계 및 향후과제
Ⅴ. 나오기
【참고문헌】
【ABSTRACT】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한국에서 한·중 언어 대조 연구 현황과 향후 과제 분석
중국어문학논집
2021 .04
관용적 요소가 조각문, 강조, 대조초점, 이동에 관해 말해 주는 것
언어학 연구
2016 .07
중국어의 '대조 화제'와 '대조 초점'에 대한 재고-용어 사용 양상을 출발점으로-
중국언어연구
2019 .01
韩汉语的复数标记
중국학
2022 .12
동시출현 단어 분석을 활용한 한⋅중 언어의 대조 분석 연구 동향 탐색
중국어교육과연구
2022 .11
한·중 피동 표현에 대한 대조 분석 연구: 담화기능을 중심으로
인문언어
2019 .01
日本語?現可能文の成立?件 -韓?語の「jida」形との比較分析-
일어일문학연구
2015 .08
対照研究に関する一考察 : 研究傾向と展望
일본어학연구
2016 .03
중국어 학습 한국인과 한국어 학습 중국인간 수행도 비교 연구: 대조분석가설과 습득-학습가설을 중심으로
외국학연구
2023 .03
韩汉在过去时间概念表达特点上的对比研究
중국문화연구
2016 .02
플랫폼 시대의 한국어 교육과 대조언어학
언어과학연구
2021 .06
중국에서의 대조언어학의 특징과 발전 추세
용봉인문논총
2015 .01
Projection of contrastiveness
언어학
2018 .04
韓國語敎育을 위한 한·태 身體言語 對照 硏究
어문연구(語文硏究)
2022 .12
한·중 양태 의미 실현 양상의 대조 연구 -언어유형론의 관점에서-
언어사실과 관점
2015 .01
말뭉치에 기반한 한중 한자어의 대조분석 연구 -공기 경향성에 대한 관찰을 중심으로-
이중언어학
2016 .01
Do Subtypes of Focus Really Exist in Spanish?
언어
2016 .04
한국의 일본어학 연구 현황과 과제
일본연구
2018 .01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