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원사업
학술연구/단체지원/교육 등 연구자 활동을 지속하도록 DBpia가 지원하고 있어요.
커뮤니티
연구자들이 자신의 연구와 전문성을 널리 알리고, 새로운 협력의 기회를 만들 수 있는 네트워킹 공간이에요.
국문초록
Ⅰ. 서론
Ⅱ. 층간소음의 특징 및 문제점
Ⅲ. 층간소음분쟁 해결을 위한 개선방안
Ⅳ.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대법원 1999. 1. 26. 선고 98도3732 판결
[1] 성폭력범죄의처벌및피해자보호등에관한법률 제9조 제1항의 상해는 피해자의 신체의 완전성을 훼손하거나 생리적 기능에 장애를 초래하는 것으로, 반드시 외부적인 상처가 있어야만 하는 것이 아니고, 여기서의 생리적 기능에는 육체적 기능뿐만 아니라 정신적 기능도 포함된다.
자세히 보기대법원 1996. 12. 23. 선고 96도2673 판결
[1] 북한이 우리의 자유민주주의적 기본질서에 대한 위협이 되고 있음이 분명한 상황에서 우리 정부가 북한 당국자의 명칭을 쓰면서 남북동포 간의 화해와 협력, 그리고 통일을 논의하기 위한 정상회담을 제의하고 7·4 남북공동성명과 7·7 선언 등 대북 관련 개방정책 선언이 있었으며 남·북한이 유엔에 동시에 가입하였고 남·북한 총리들이 남북
자세히 보기대법원 2000. 3. 23. 선고 99도3099 판결
[1] 강제추행치상죄에 있어서의 상해는 피해자의 신체의 건강상태가 불량하게 변경되고 생활기능에 장애가 초래되는 것을 말하는 것으로서, 신체의 외모에 변화가 생겼다고 하더라도 신체의 생리적 기능에 장애를 초래하지 아니하는 이상 상해에 해당한다고 할 수 없다.
자세히 보기대법원 1982. 12. 28. 선고 82도2588 판결
상해죄의 성립에는 상해의 고의와 신체의 완전성을 해하는 행위 및 이로 인하여 발생하는 인과관계 있는 상해의 결과가 있어야 하므로 상해죄에 있어서는 신체의 완전성을 해하는 행위와 그로 인한 상해의 부위와 정도가 증거에 의하여 명백하게 확정되어야 하고, 상해부위의 판시없는 상해죄의 인정은 위법하다.
자세히 보기대법원 1996. 12. 10. 선고 96도2529 판결
[1] 여러 사람이 폭력행위등처벌에관한법률 제2조 제1항에 열거된 죄를 범하기로 공모한 다음 그 중 2인 이상이 범행장소에서 범죄를 실행한 경우에는 범행장소에 가지 아니한 자도 같은 법 제2조 제2항에 규정된 죄의 공모공동정범으로 처벌할 수 있다.
자세히 보기대법원 2003. 1. 10. 선고 2000도5716 판결
[1] 형법 제260조에 규정된 폭행죄는 사람의 신체에 대한 유형력의 행사를 가리키며, 그 유형력의 행사는 신체적 고통을 주는 물리력의 작용을 의미하므로 신체의 청각기관을 직접적으로 자극하는 음향도 경우에 따라서는 유형력에 포함될 수 있다.
자세히 보기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소음에 관한 형사법적 고찰 : 층간소음 분쟁을 중심으로
법학연구
2015 .09
층간소음의 제 문제에 관한 법적 검토
동북아법연구
2016 .01
환경분쟁조정제도의 조정역량 측정에 관한 연구: 층간소음 분쟁사례
입법과 정책
2017 .01
공동주택의 층간소음으로 인한 손해배상청구
토지법학
2020 .06
아동의 층간소음에 대한 사법적 구제
원광법학
2020 .01
사회자본과 층간소음 갈등
한국정책학회보
2018 .01
공동주택 층간소음분쟁에 관한 연구
집합건물법학
2015 .01
층간소음의 발생원인 및 그 분쟁해결의 기준과 방법에 관한 고찰
집합건물법학
2016 .01
층간소음범죄의 실태와 특성분석
치안정책연구
2024 .09
공동주택의 층간소음의 법적문제에 관한 소고
민사법의 이론과 실무
2015 .01
층간소음 이슈 관련 인식 조사
리서치보고서
2022 .01
2024 층간소음 이슈 관련 인식 조사
리서치보고서
2024 .01
공동주택 층간소음 관련 이웃 간분쟁해결 방향에 관한 연구- 영국의 사례를 중심으로 -
홍익법학
2020 .01
일본에서의 소음 피해에 대한 손해배상
법과 정책연구
2018 .01
공동주택의 층간소음침해와 방지청구권의 법리
환경법연구
2018 .01
부정적 상호성 믿음이 층간소음 중지요구행동에 미치는 영향: 층간소음 중지요구 결과기대의 매개효과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2022 .07
Validation of a Floor Noise Annoyance Scale (FNAS) in a Community Sample
연구방법논총
2021 .03
[Market Analysis] 층간소음 사라질까 : 층간소음 사각지대 1441만호의 비애
더스쿠프
2022 .06
군사격장 소음관련법령의 문제점과 개선방안
법학연구
2022 .09
층간소음 저감을 위한 주택 성능 향상
국토
2024 .07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