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원사업
학술연구/단체지원/교육 등 연구자 활동을 지속하도록 DBpia가 지원하고 있어요.
커뮤니티
연구자들이 자신의 연구와 전문성을 널리 알리고, 새로운 협력의 기회를 만들 수 있는 네트워킹 공간이에요.
이용수
국문초록
Ⅰ. 서설
Ⅱ. 공공데이터 개방의 현황
Ⅲ. 공공데이터의 제공 및 이용 활성화에 관한 법제
Ⅳ. 공공데이터 개방과 관련한 문제들
Ⅴ. 공공데이터 관리에 관한 사법심사
Ⅵ. 결어
참고문헌
〈Abstract〉
인천지방법원 2015. 8. 13. 선고 2015구합50553 판결
갑이 공공데이터의 제공 및 이용 활성화에 관한 법률(이하 `공공데이터법’이라 한다)에 따라 `2012년도, 2013년도, 2014년도, 2015년도 증인여비기준표’를 제공해 달라는 공공데이터 제공신청을 하였으나, 을 지방법원장이 해당 정보가 공공기관의 정보공개에 관한 법률(이하 `정보공개법’이라 한다)에 따른 정보공개청구 대상이라는 이유로 반려한
자세히 보기헌법재판소 2014. 8. 28. 선고 2011헌마28,106,141,156,326,2013헌마215,360(병합) 전원재판부
가. 이 사건 채취영장조항은 헌법상 영장주의를 구체화한 조항이고, 이 사건 감식, 수록 및 관리조항은 업무 처리에 관한 방식을 규정한 것에 불과하므로, 이들 조항으로 인하여 청구인들의 기본권이 직접 침해되거나, 그 법적 지위에 어떠한 영향이 발생한다고 보기 어려워 기본권 침해의 가능성이 없다.
자세히 보기헌법재판소 2012. 4. 3. 선고 2012헌마205 결정
자세히 보기대법원 2016. 11. 10. 선고 2016두44674 판결
구 공공기관의 정보공개에 관한 법률(2013. 8. 6. 법률 제11991호로 개정되기 전의 것, 이하 `구 정보공개법’이라고 한다)은, 정보의 공개를 청구하는 이(이하 `청구인’이라고 한다)가 정보공개방법도 아울러 지정하여 정보공개를 청구할 수 있도록 하고 있고, 전자적 형태의 정보를 전자적으로 공개하여 줄 것을 요청한 경우에는 공공기관은 원
자세히 보기대법원 2014. 12. 24. 선고 2014두9349 판결
[1] 일반적인 정보공개청구권의 의미와 성질, 구 공공기관의 정보공개에 관한 법률(2013. 8. 6. 법률 제11991호로 개정되기 전의 것, 이하 `정보공개법’이라 한다) 제3조, 제5조 제1항, 제6조의 규정 내용과 입법 목적, 정보공개법이 정보공개청구권의 행사와 관련하여 정보의 사용 목적이나 정보에 접근하려는 이유에 관한 어떠한 제한을 두고 있지 아
자세히 보기헌법재판소 2005. 7. 21. 선고 2003헌마282,425(병합) 전원재판부
가.개인정보자기결정권을 제한함에 있어서는 개인정보의 수집·보관·이용 등의 주체, 목적, 대상 및 범위 등을 법률에 구체적으로 규정함으로써 그 법률적 근거를 보다 명확히 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개인정보의 종류와 성격, 정보처리의 방식과 내용 등에 따라 수권법률의 명확성 요구의 정도는 달라진다 할 것인바, 피청구인 서울특별시 교육감과 교육인적자
자세히 보기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충청북도 공공데이터 개방 현황 및 이용활성화 전략 : 재난안전분야를 중심으로
지역정책연구
2017 .06
공공데이터 개방정책에 관한 평가적 고찰: 공공데이터포털을 중심으로
국가정책연구
2017 .01
공공데이터 개방, 어디까지 왔나?_기계가 읽을 수 있는 데이터를 달라
신문과방송
2019 .07
지방정부의 공공데이터 내용 분석 : 텍스트 마이닝을 통한 분석결과를 중심으로
한국행정연구
2021 .01
충북의 공공데이터 개방현황과 정책 시사점
충북 FOCUS
2016 .06
공공데이터 개방 정책을 통한 공공 가치 창출 매커니즘
Entrue Journal of Information Technology
2017 .01
한국의 데이터주도 혁신에 대한 법의 대응과 진화
경제규제와 법
2018 .11
비판 데이터론 서설 : 빅데이터는 어디에?
한국지역정보화학회지
2018 .12
공공데이터 개방정책의 실태분석 및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 공공데이터 포털의 국가중점데이터 개방 사례를 중심으로
한국공공관리학보
2019 .03
한국의 공공데이터 개방 정책의 효과에 대한 연구 : 생태계 관점에서
한국지역정보화학회지
2017 .12
기업에 대한 공공데이터 유상제공 가능성에 관한 고찰
동북아법연구
2017 .01
인공지능 학습 데이터로서 공공연구데이터 활용 촉진을 위한 시론적 연구
법과정책
2020 .01
광역자치단체의 공공데이터 활용을 위한 효율성 분석
국정관리연구
2023 .06
지자체 공공데이터 개방 현황 및 정책 제언 : 공공데이터 포털사이트 운영을 중심으로
한국지역정보화학회지
2015 .12
공공데이터 융합의 영향요인과 매개효과에 관한 탐색적 연구: 데이터기반행정의 맥락을 중심으로
한국지역정보화학회지
2020 .09
공공데이터 활용 및 사례
한국도시행정학회 학술발표대회 논문집
2018 .12
개방형 공공데이터의 공간정보 활용을 위한 Geo-Data Appliance 구현방안
지적과 국토정보
2015 .01
위치지능화를 통한 공공데이터의 활용성 향상에 관한 연구
지적과 국토정보
2019 .01
감염병 대응을 위한 데이터 분석 및 활용시스템 운영방안
정책연구
2020 .11
공공 빅데이터 플랫폼 성과평가 모형
지식경영연구
2020 .01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