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원사업
학술연구/단체지원/교육 등 연구자 활동을 지속하도록 DBpia가 지원하고 있어요.
커뮤니티
연구자들이 자신의 연구와 전문성을 널리 알리고, 새로운 협력의 기회를 만들 수 있는 네트워킹 공간이에요.
이용수
이중의 위기, 그리고 ‘비즈니스’와 ‘퀄리티’의 균형
독자들의 불신이라는 오랜 난제
일상과 관행의 ‘진부함’에 대한 불신
언론의 신뢰도 회복을 위한 새로운 과제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사실과 의견 구분_‘사실’ 뒷받침 되지 않은 ‘과잉주장’…언론 신뢰 해친다
신문과방송
2018 .10
언론을 담다 : 한 권으로 보는 한국 언론 60년
연구보고서
2020 .12
한국 언론, 얼마나 낡았나_가르치려 드는 언론 통하지 않는 시대
신문과방송
2020 .12
언론 신뢰도 향상 방안
연구보고서
2024 .11
그래도 “이런” 언론은 있어야
관훈저널
2021 .12
[신뢰 못 받는 한국 언론] 언론감시와 미디어비평 무엇이 문제인가
관훈저널
2020 .09
언론 신뢰 구축을 위한 새로운 접근
연구보고서
2021 .10
언론은 어떻게 해야 하나_‘만인 미디어 시대’…언론은 ‘신뢰성 필터’가 돼야 한다
신문과방송
2019 .03
독자에게 언론 신뢰를 묻다_시민 60% “한국 언론, 정치·경제권력으로부터 독립해야”
신문과방송
2020 .01
한국 언론은 안녕한가2: 한국 언론인이 바라본 한국 언론_언론사는 무너져도 언론은 무너져선 안 된다
신문과방송
2022 .01
한국의 언론 자유를 지키려면?
관훈저널
2021 .12
한국 언론은 안녕한가1: 해외에서 바라본 한국 언론_고품질 저널리즘으로 언론 위기를 기회로 바꿔야
신문과방송
2022 .01
언론학자가 본 언론 현장_뼈아픈 경험이 언론 제도와 문화를 바꿔야
신문과방송
2015 .05
언론수용자의 언론인 접촉경험과 언론신뢰 : 언론인접촉-언론신뢰 가설에 대한 실증 테스트
한국언론학보
2019 .10
2018 언론수용자 의식조사_반짝 상승했던 2017년 언론 신뢰, 2018년엔 다시 하락
신문과방송
2019 .01
한국 언론은 어떻게 보도했나_방역의 정치화, 언론이 부추겨
신문과방송
2021 .04
신뢰의 조건 : 저널리즘 전문성과 정파적 편향성이 언론 신뢰와 정치 신뢰에 미치는 영향
한국언론학보
2016 .12
무엇이 한국 언론 자유와 언론 신뢰에 대한 인식에 개입하나 : 능선 회귀(Ridge Regression)와 Lasso 통계학습을 중심으로
한국언론학보
2021 .06
데이터화가 언론학 연구방법에 던지는 의미
한국방송학회 학술대회 논문집
2018 .11
제2장 한국 언론의 문제점과 개선 방안 : 다양한 관점
연구보고서
2021 .12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