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원사업
학술연구/단체지원/교육 등 연구자 활동을 지속하도록 DBpia가 지원하고 있어요.
커뮤니티
연구자들이 자신의 연구와 전문성을 널리 알리고, 새로운 협력의 기회를 만들 수 있는 네트워킹 공간이에요.
이용수
[표지]
[목차]
[01. 연구 설계 및 진행과정]
1. 연구 목적
2. 연구 설계
3. 연구 진행
[02. 1∼3차 설문조사 결과 분석]
1. 조사수행과 응답자 속성
2. 응답자 기본통계
3. 청년활동사업 지원과정 평가
4. 지원금관련 사업평가
5. 지원금 외 지원사업 평가
6. 청년활동지원사업 포괄적 평가
7. 지원사업 참가경험과 변화
[03. 1∼2차 면접조사 결과 분석]
1. 1차 면접조사
2. 2차 면접조사
[04. 결론 및 함의 : 2017년 청년정책 효과와 2018년 정책 방향]
1. 원자화된 개인에서 사회 안으로
2. 6개월의 여유가 가져다준 자신의 발견
3. 복지혜택을 넘어선 공적 관심과 배려
4. 생활근거지 기반 정책전달과 커뮤니티의 수요
5. 더 필요한 사람에게 기회를
6. 20대 초반 청년에 특화된 정책적 관심 필요
[부록]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2018년 서울시 청년활동지원사업
서울시청년활동지원센터 연구보고서
2019 .02
2017년 서울시 청년활동지원사업 성과측정 및 효과분석 연구
서울시청년활동지원센터 연구보고서
2017 .12
2019년 서울시 청년활동지원사업 참여자 분석 연구 및 2018년 참여자 추적조사 연구
서울시청년활동지원센터 연구보고서
2020 .02
서울시 청년활동지원사업 2020년, 2021년 참여자 조사·분석 - 코로나 19 효과를 중심으로 -
서울시청년활동지원센터 연구보고서
2021 .12
2017년 서울시 청년활동지원사업 참여자에 대한 2018년 추적조사
서울시청년활동지원센터 연구보고서
2019 .02
[PART 1] 서울시 청년정책 괜찮나_청년사업에 청년은 없었다
더스쿠프
2019 .05
서울시 청년자산형성지원사업의 현황 및 개선사항
비판과 대안을 위한 사회복지학회 학술대회 발표논문집
2018 .05
[PART 5] 한눈에 살펴본 서울시 청년사업_“◯◯사업이요? 이미 없앴어요!”
더스쿠프
2019 .05
서울시 청년 참여정책 진단과 개선과제
정책리포트
2024 .08
청년들에게 꿈을 증여하기 : 서울시의 청년수당 사업을 중심으로
한국사회학회 심포지움 논문집
2017 .10
[토론문] 서울시 청년자산형성지원사업의 현황 및 개선사항
비판과 대안을 위한 사회복지학회 학술대회 발표논문집
2018 .05
서울시 청년 주택 활성화 방안
대한지리학회 학술대회논문집
2023 .06
서울시 근로빈곤청년 자산형성지원정책 현황분석 : 희망두배 청년통장사업 중심으로
한국사회복지행정학회 학술대회 자료집
2016 .04
2022 청년 사회생활 지원실태 조사 사업
연구사업보고서
2023 .03
제주 청년의 '청년공간지원사업' 참여 경험의 교육적 의미
평생교육학연구
2022 .12
“그냥 쉬었다” 청년 44만 명, 그들은 왜?
노동법률
2024 .10
[Special Report 2 PART 1] 인터뷰 | 안암생활 입주민_“청년에게 걸어갈 수 있다는 건…”
더스쿠프
2020 .12
꿈을 가진 청년은 어떻게 만들어지는가?
한국사회학회 심포지움 논문집
2017 .10
청년들이 왜 떠나는데? 일만 하기 싫으니까!
국토
2021 .01
경상북도 청년정책에 대한 성인지적 분석 및 개선방안 : 청년관련 조례 및 청년활동공간사업을 중심으로
연구보고서
2023 .07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