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원사업
학술연구/단체지원/교육 등 연구자 활동을 지속하도록 DBpia가 지원하고 있어요.
커뮤니티
연구자들이 자신의 연구와 전문성을 널리 알리고, 새로운 협력의 기회를 만들 수 있는 네트워킹 공간이에요.
이용수
들어가는 말
1. Entwurf ( 「초고」) 원고에 관하여
2. Entwurf ( 「초고」) 형성에 관하여
3. Entwurf ( 「초고」) 구조에 관하여
4. Entwurf ( 「초고」) 내용에 관하여
나가면서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프로이트의 Entwurf (1895)에 나타난 Ich에 관하여」(강응섭, 예명대학원대학교 정신분석상담학)에 대한 토론
한국현대정신분석학회 학술발표대회 프로시딩
2020 .11
프로이트의 쥐인간 다시 보기
한국현대정신분석학회 학술발표대회 프로시딩
2017 .06
[발표 1] 프로이트의 ‘Masse’ 형성에 있어 Über-Ich(초자아)의 역할
한국현대정신분석학회 학술발표대회 프로시딩
2022 .12
[토론 1] 「프로이트의 ‘Masse’ 형성에 있어 Über-Ich(초자아)의 역할」에 관한 논평
한국현대정신분석학회 학술발표대회 프로시딩
2022 .12
무의식론 : 프로이트와 라깡의 차별성
새한철학회 학술대회 발표논문집
2017 .04
한국문화와 역의 삼재론
율곡학연구
2022 .03
프로이트의 늑대인간 분석 다시 보기
한국현대정신분석학회 학술발표대회 프로시딩
2017 .06
정신분석학적 성의 이해 : 프로이트·라깡을 중심으로
한국현대정신분석학회 학술발표대회 프로시딩
2018 .06
문학에 대한 불만 - 프로이트의 정신분석의 시학
독어독문학(구 독일문학)
2016 .06
“아이가 매를 맞아요(매 맞는 아이, 1919)” 사례를 통해 본 프로이트의 환상이론
한국현대정신분석학회 학술발표대회 프로시딩
2023 .06
무형문화유산 제도의 양면성 -김치와 김장문화를 중심으로-
지방사와 지방문화
2021 .11
경계선적 문제틀: 프로이트, 라캉, 케이슨
한국현대정신분석학회 학술발표대회 프로시딩
2024 .12
Interpretation of Freud’s Pyschoanalysis : Foucault vs. Derrida on Freud
현대정신분석
2015 .02
지속과 무의식 : ‘생동하는 무의식’은 우리의 존재에 대해 무엇을 말해주는가?
철학사상
2016 .11
〈“아이가 매를 맞아요(매 맞는 아이, 1919)” 사례를 통해 본 프로이트의 환상이론〉에 대한 토론문
한국현대정신분석학회 학술발표대회 프로시딩
2023 .06
「경계선적 문제틀: 프로이트, 라캉, 케이슨」 토론문
한국현대정신분석학회 학술발표대회 프로시딩
2024 .12
[발표 2] 프로이트의 정신분석학에서 Verdrängung의 역할
한국현대정신분석학회 학술발표대회 프로시딩
2022 .12
프로이트의 심급과 라캉의 언어처럼 짜인 무의식, 그리고 AI의 빅데이터 사이의 대화는 가능한가?
한국현대정신분석학회 학술발표대회 프로시딩
2019 .12
독일 낭만주의 소설과 오이디푸스 콤플렉스 : 키틀러의 매체론적 관점에서 본 프로이트
현대정신분석
2015 .02
[고전읽기] 칸트, 『영원한 평화』: Zum ewigen Frieden Ein philosophischer Entwurf (Königsberg 1795, 1796)
철학과 현실
2024 .06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