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원사업
학술연구/단체지원/교육 등 연구자 활동을 지속하도록 DBpia가 지원하고 있어요.
커뮤니티
연구자들이 자신의 연구와 전문성을 널리 알리고, 새로운 협력의 기회를 만들 수 있는 네트워킹 공간이에요.
1. ‘구체적 보편’을 향하여
2. 방법론적 전환과 시대착오의 글쓰기 - 정지돈 장편소설 『모든 것은 영원했다』
3. 사적 기억의 존재 방식과 균열의 글쓰기 - 심윤경 장편소설 『영원한 유산』
4. 순간과 영원, 그리고 소설의 내적 형식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모든 것은 부재했다, 하여 순간 속에서 영원했다(2회) - 정지돈 『모든 것은 영원했다』의 소설적 불가능, 그리고 사라지지 않는 망각으로서의 비평
문학들
2021 .11
영원
청색종이
2023 .03
장편의 상상력과 그 전망 - 최근 문학공모전을 통해 살펴본 장편소설의 현황
비평문학
2021 .03
장편, ‘가능성’으로서의 문학
창비어린이
2016 .09
어느 영원한 순간들에 대하여
월간에세이
2020 .04
역사 앞에 영원한 외상은 없다
역사비평
2015 .02
[소설] 못 한 일
황해문화
2022 .06
적이 없는 소설들
자음과모음
2022 .12
[소설] 아물지 않아, 아려, 아직도
문학들
2022 .08
이것은 내가 쓴 소설이 아니다
자음과모음
2021 .03
소설론은 움직인다
자음과모음
2023 .06
[소설] 우리가 우리였던
황해문화
2021 .06
[소설] 미애
황해문화
2021 .03
소설을 기다리다
월간에세이
2018 .03
밤에 읽는 흔한 소설 외
자음과모음
2020 .12
[소설] 아무도 아닌 자, 그리고 아무것도 아닌 곳
문학들
2019 .08
[소설] 한 번은 울어야 한다
문학들
2018 .11
[소설] 우리가 가둔 것과 우리가 갇힌 곳
문학들
2020 .08
[소설] 나는 멈추기로 했다
문학들
2019 .08
[소설] 결코 무의미하지 않은
문학들
2018 .02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