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원사업
학술연구/단체지원/교육 등 연구자 활동을 지속하도록 DBpia가 지원하고 있어요.
커뮤니티
연구자들이 자신의 연구와 전문성을 널리 알리고, 새로운 협력의 기회를 만들 수 있는 네트워킹 공간이에요.
이용수
국문요약
Ⅰ. 머리말
Ⅱ. 유라시아 시민성 함양매개
Ⅲ. 유라시아 시민성 실심기반
Ⅳ. 유라시아 시민성 실심감통
Ⅴ. 맺음말
참고문헌
Abstract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러시아의 유라시아주의와 제국의 지정학
슬라브학보
2019 .06
유라시아 연구의 미래
유라시아문화
2024 .08
우크라이나전쟁과 러시아문명의 변화
슬라브硏究
2023 .03
에르도안 집권기 터키 대외정책의 유라시아 지향성 강화
슬라브硏究
2020 .01
고전적 유라시아주의에 대한 비판적 고찰
러시아어문학연구논집
2015 .01
동부 유라시아론이란 무엇인가?
고조선단군학
2021 .12
러시아와 유라시아
러시아어문학연구논집
2015 .01
유라시아 경제연합 구축과 러시아 에너지전략
슬라브학보
2015 .12
흘레브니코프의 유라시아주의
스토리앤이미지텔링
2015 .06
‘동(부)유라시아사’라는 사고방식 -최근 일본에서 고대 동아시아사 연구의 신동향
동국사학
2022 .12
글로컬의 관점에서 본 유라시아: 정치적·경제적 접근에서 문화적 접근으로
현대유럽철학연구
2021 .01
유라시아 지역통합의 동학 : 유라시아 지역주의 對 서구지향 지역주의
슬라브학보
2016 .12
러시아 정체성 형성과 ‘유럽’의 개념: 18세기 후반의 경우
러시아어문학연구논집
2015 .01
<설림> 동부유라시아론의 저서 3종 소개
동국사학
2024 .08
2015 유라시아 친선특급 행사: 의미, 성과, 과제
슬라브硏究
2016 .01
세계사 속의 중앙유라시아 - 현황, 이론 그리고 사례 -
동양사학연구
2023 .09
유라시아 투르크 명창 문화의 초국가적 실크로드 무형문화유산으로서의 가능성 연구
슬라브학보
2016 .09
<번역> 동아시아 세계론에서 유라시아론을 조망하다
동국사학
2024 .08
홍익인간의 장수시민성 함양가치
유라시아문화
2021 .02
카자흐스탄의 전방위외교와 다자주의 - 중앙아시아 국제환경, 국가 속성, 국가 정체성 요인을 중심으로 -
슬라브硏究
2021 .01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