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 내서재 .. 알림
소속 기관/학교 인증
인증하면 논문, 학술자료 등을  무료로 열람할 수 있어요.
한국대학교, 누리자동차, 시립도서관 등 나의 기관을 확인해보세요
(국내 대학 90% 이상 구독 중)
로그인 회원가입 고객센터 ENG
주제분류

추천
검색
질문

논문 기본 정보

자료유형
학술저널
저자정보
박근송 (창원대학교) 이태규 김정우 (서울대학교) 박지은 (서울대학교)
저널정보
대한건축학회 대한건축학회논문집 大韓建築學會論文集 第37卷 第9號(通卷 第395號)
발행연도
2021.9
수록면
71 - 79 (9page)

이용수

DBpia Top 5%동일한 주제분류 기준으로
최근 2년간 이용수 순으로 정렬했을 때
해당 논문이 위치하는 상위 비율을 의미합니다.
표지
📌
연구주제
📖
연구배경
🔬
연구방법
🏆
연구결과
AI에게 요청하기
추천
검색
질문

초록· 키워드

오류제보하기
This study aims to reveal the spatial structural characteristics of the urban regeneration revitalization area where gentrification occurred through comparative analysis of urban spatial structure between the areas where gentrification occurred and areas where gentrification did not occur among the urban regeneration revitalization areas in Seoul. In this study, it was revealed that the urban regeneration area including the gentrification site has exceptional spatial structure through the analysis result of the urban spatial structure. In addition, it was possible to understand the reason why Seoul strategically selected urban regeneration revitalization areas including gentrification sites. Taken together, it is recognized that it is a combination of two regions with different spatial structures with different clarity due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area overlapping the gentrification area among the existing urban regeneration revitalization areas, suggesting the necessity of selecting a target site considering this. As such, gentrification in urban regeneration projects has both positive and negative effects as a byproduct that can be naturally accompanied. Therefore, an active response is required to identify its characteristics in advance, and to utilize and control them.

목차

Abstract
1. 서론
2. 이론적 고찰
3. 도시재생활성화지역과 젠트리피케이션 발생지역의 공간구조 분석
4. 도시재생활성화지역과 젠트리피케이션 발생지역의 공간분석결과 해석 및 고찰
5. 결론
REFERENCES

참고문헌 (15)

참고문헌 신청

함께 읽어보면 좋을 논문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이 논문의 저자 정보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논문

최근 본 자료

전체보기

댓글(0)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