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원사업
학술연구/단체지원/교육 등 연구자 활동을 지속하도록 DBpia가 지원하고 있어요.
커뮤니티
연구자들이 자신의 연구와 전문성을 널리 알리고, 새로운 협력의 기회를 만들 수 있는 네트워킹 공간이에요.
등록된 정보가 없습니다.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3·1운동 100주년의 역사영화와 여성 ―서대문형무소 여옥사 8호실과 〈항거: 유관순 이야기〉
역사비평
2020 .02
ChatGPT를 활용한 AI 시인 구현(1) - ‘AI 윤동주’의 생성과 시 창작의 가능성을 중심으로
국제언어문학
2024 .08
시인의 탄생 : 영화 『동주』를 대상으로
우리말글
2017 .06
소설과 영화에서의 윤동주 재현과 그 현재적 의미 — ‘저항성’에 대한 해석과 적용을 중심으로 —
현대문학이론연구
2020 .01
1970년대 이후 윤동주 담론의 형성과 전개-한국현대시사의 연속성 탐구 시론(1)
춘원연구학보
2023 .07
키에르케고어 ‘종교적 실존’ 개념을 적용한 윤동주 시의 신학적 분석―1940년대 윤동주 후기 시를 중심으로
한국기독교신학논총
2022 .04
국가와 정치 그리고 문학의 상관성 - 이동주의 생애를 중심으로
어문논총
2023 .08
만주 이야기와 윤동주의 기억
돈암어문학
2016 .12
문학 공간과 서사 체험 -‘윤동주문학관’․‘구보 따라 걷기’를 중심으로
구보학보
2019 .01
누스바움의 감정철학으로 본 윤동주의 ‘시적 정의(正義)’
어문학
2019 .03
사료의 재검토를 통해 본 高麗 윤관의 女眞征伐
역사학보
2021 .06
윤동주의 독서 체험 연구(3) -전환기 정신사의 전유를 중심으로
국제언어문학
2023 .04
新羅 良・尙・康州 出土 唐式 帶裝飾具의 分布 定型
영남고고학
2022 .01
宋代『紹興十八年同年小錄』에 나오는 本貫의 의미 - 比較史의 觀點에서 한국의 本貫制度를 바라보다 -
사림
2016 .01
유교적 수치심의 관점에서 본 윤동주의 시 세계
한국시학연구
2017 .11
말하고 듣고 쓰고 읽기 - 정동훈, 『황제의 말과 글: 조선을 대하는 명나라 황제의 두 얼굴』(서울, 푸른역사, 2023)
역사학보
2024 .06
주시경이 바라본 국어
언어사실과 관점
2015 .01
芹村 白寬洙의 정치 이념
한국민족운동사연구
2015 .01
조선후기 관왕묘(關王廟)에 대한 인식의 전환과 그 의미 : 18세기 서울 동·남관왕묘를 중심으로
역사와현실
2016 .09
중국-EU-미국 간 지리적 표시 보호제도에 대한 글로벌 분쟁 및 중국의 시사점
민족연구
2019 .01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