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 내서재 .. 알림
소속 기관/학교 인증
인증하면 논문, 학술자료 등을  무료로 열람할 수 있어요.
한국대학교, 누리자동차, 시립도서관 등 나의 기관을 확인해보세요
(국내 대학 90% 이상 구독 중)
로그인 회원가입 고객센터 ENG
주제분류

추천
검색

논문 기본 정보

자료유형
학술저널
저자정보
이혜지 (제주대학교) 오창윤 (제주대학교)
저널정보
한국도자학회 한국도자학연구 한국도자학연구 제17권 제3호
발행연도
2020.1
수록면
199 - 215 (17page)

이용수

표지
📌
연구주제
📖
연구배경
🔬
연구방법
🏆
연구결과
AI에게 요청하기
추천
검색

초록· 키워드

오류제보하기
본 연구는 실크스크린 기법을 활용하여 제주토양자원의 안료화와 적용 가능성을 제시함으로써 지역자원의 활용을 통한 도자 채화기법의 새로운 가능성을 모색하는데 목적이 있다. 실크스크린 기법(silk screen)은  판화, 인쇄기법 중 하나로 판 재료에 실크가 사용되기 때문에 실크스크린으로 불리게 되었으며 스크린프린팅(screenprinting) 혹은 세리그래피(serigraphy)로 불리기도 한다. 실크스크린 기법은 대량생산에 용이하며 색채도수에 제약이 없다. 또한 도안의 자유로운 조합이 가능하며 다양한 안료의 활용이 가능하다. 이와 같은 특징의 실크스크린기법은 현재 산업도자에 주로 활용되고 있지만, 이를 새로운 방식으로 활용함으로써 도자채화기법에 새로운 가능성을 제시할 수 있을 것이라 판단되었고 제주의 독특한 토양자원의 적용을 통해 가능성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제주도는 여러 차례 걸친 화산활동으로 제주의 토양 약 80%가 화산회토이며 이외에는 비화산회토, 화산쇄설암(화산석), 화산쇄설물(스코리아) 등으로 이루어져있다. 제주 토양은 토색(土色)을 기준으로 크게 암갈색토·농암갈색토·흑색토·갈색삼림토로 구분되며 이 중 암갈색토는 비화산회토, 농암갈색토·흑색토·갈색삼림토는 화산회토로 볼 수 있다. 크기에 따라 화산쇄설암과 화산쇄설물로 구분되는 화산석은 용암의 종류에 따라 띄는 색이 다르며, 화산쇄설물인 스코리아는 철분 함유량이 많아 검은색, 적갈색, 황갈색을 띈다. 실크스크린 기법을 도예작업에 활용해오면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도예용 안료와 전사지 제작 방식의 새로운 활용에 대하여 고민하던 중 제주의 독특한 지역재료에 대해 접하게 되었다. 생성방식과 시기에 따라 상이한 제주의 다양한 토색을 실크스크린 기법에 활용하여 도예작업에 적용하였을 때 지역 색이 돋보이는 채화 재료의 개발이 가능할 것이라 판단되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실크스크린 기법과 제주 전 지역에 분포하고 있는 다양한 토양 자원을 연구대상으로 설정하여 실크스크린 기법을 통한 제주토양자원의 채화 재료로서의 활용가능성 도출에 중점을 두어 다음과 같은 과정을 거쳐 연구를 진행하였다. 연구과정은 첫째, 연구대상인 실크스크린 기법에 대한 개념을 이해하고, 제주의 토양의 특성을 고찰하여 다양한 토색의 시료를 선정⦁채취하였다. 채취한 시료는 1차 분쇄 후 불순물을 걸러내 볼밀(Ball Mill)로 2차 분쇄하는 과정을 거쳐 안료화하였다. 둘째, 안료화한 제주토양자원을 백색자기토, 분청토를 이용한 시편을 제작 후 시문하여 발색 실험을 진행하였다. 시편은 초벌 810℃, 재벌 1250℃에서 산화소성 후 발색 실험의 결과를 분석하고 안료로서 활용 가능한 이상적 시료를 선별하여 도출하였다. 발색 실험 결과, 가장 이상적 결과를 보인 시편은 상천리의 화산석, 선흘리의 스코리아, 김녕리의 비화산회토 시편이었다. 사용소지에 따른 실험결과는 색상 면에서 전체적으로 비슷한 색을 보였으나 시편의 색상이 밝을수록 각 시료의 발색과 특징이 돋보였다. 실험결과를 통해 제주토양자원의 도예 채화 재료로서 활용가능성을 도출할 수 있었다. 마지막으로 발색실험 결과의 이상적 시료를 실크스크린 기법을 활용하여 평면과 입체기물에 적용시켜봄으로써 채화 재료로써 지역 자원의 활용가능성과 도자채화기법의 새로운 가능성을 모색하여 제시하였다.

목차

등록된 정보가 없습니다.

참고문헌 (9)

참고문헌 신청

함께 읽어보면 좋을 논문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이 논문의 저자 정보

최근 본 자료

전체보기

댓글(0)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