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 내서재 .. 알림
소속 기관/학교 인증
인증하면 논문, 학술자료 등을  무료로 열람할 수 있어요.
한국대학교, 누리자동차, 시립도서관 등 나의 기관을 확인해보세요
(국내 대학 90% 이상 구독 중)
로그인 회원가입 고객센터 ENG
주제분류

추천
검색

논문 기본 정보

자료유형
학술저널
저자정보
강재신 (서울과학기술학교 나노IT디자인융합대학원 IT디자인융합전공 박사과정)
저널정보
한국영상학회 한국영상학회논문집 한국영상학회논문집 제18권 제1호
발행연도
2020.1
수록면
23 - 39 (17page)

이용수

표지
📌
연구주제
📖
연구배경
🔬
연구방법
🏆
연구결과
AI에게 요청하기
추천
검색

초록· 키워드

오류제보하기
디지털 컨버전스 패러다임의 변화에 따라 미디어 콘텐츠에서의 밈 현상이 빠르게 확산하여 인기를 얻고 있다. 마케팅과 광고업계에서는 밈 현상을 활용하고자 하는 시도가 빈번하게 이루어지고 있는 실정이다. 밈은 자체적으로 가지고 있는 의미뿐 아니라 콘텐츠 속에 담겨있는 스토리의 맥락과 사회, 문화적인 측면에 따라서 본래의 의미와 다른 커뮤니케이션 작용이 일어나게 된다. 이런 이유에서 밈을 단순한 재미와 흥미를 유발하는 요소로 인식하기보다는 사회, 문화적인 의미가 반영된 밈 활용 콘텐츠에 내포된 메시지들을 살펴볼 필요가 있다. 이에 본 연구자는 밈을 활용한 온라인 광고 콘텐츠를 연구대상으로 의미작용과 서사 구조를 분석함으로써 커뮤니케이션을 통해 콘텐츠가 전달하고자 하는 메시지를 파악하고자 했다. 연구방법으로는 먼저 문헌 자료를 토대로 밈의 개념과 등장 배경을 파악하고, 온라인 자료조사를 통하여 밈 활용 콘텐츠 사례를 수집하였다. 다음으로 기호학적 접근 방법 중 서사구조에 중점을 두었던 그레마스의 의미생성 모델에 관한 선행연구를 시행하였으며 이를 밈 콘텐츠의 커뮤니케이션 분석에 적용하였다. 분석 결과 밈은 콘텐츠가 커뮤니케이션을 통해 전달하려는 메시지와 정확한 서사구조로 연결되어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연구는 대중에게 인기를 얻은 밈 활용 콘텐츠 사례를 통해서 광고의 메시지가 어떠한 과정으로 대중에게 합리적으로 수용될 수 있는지를 파악해 볼 수 있었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 나아가 동시대에 공존하는 TV-웹-모바일 미디어들의 역동적인 관계 속 밈 현상에 대한 근본적인 이해를 통해서 미디어 콘텐츠의 한 장르로서 밈의 가능성과 발전 방향을 가늠해볼 수 있다.

목차

등록된 정보가 없습니다.

참고문헌 (10)

참고문헌 신청

함께 읽어보면 좋을 논문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이 논문의 저자 정보

최근 본 자료

전체보기

댓글(0)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