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공지능(AI)으로 대표되는 테크놀로지가 제4차 산업혁명을 이끌고 그것들이 산업구조의 변화를 가져옴으로써 고용과 노동도 크게 변화할 것으로 예측되고 있다. 과학기술의 급속한 발전으로 ‘컴퓨터가 인간의 일자리를 빼앗을 수 있다’고 걱정하는 사람들이 더 많아졌고, 이에 대한 검증도 이루어져 왔다. 지금까지의 산업혁명에서도 ‘사라진 직업’은 다수 있었지만, 한편 ‘새로 태어난 직업’도 있었다. 그러나 제4차 산업혁명에 의해 초래되는 변혁은 ‘사람이 불필요하게 된다’라고 하는 지금까지와는 질이 다른 것이라고 여겨진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AI시대에 요구되는 기술에 대해서 선행연구와 각종 기관의 조사보고서를 단서로 검토를 실시하였다. 그 결과 AI시대에는 소통기술이 AI가 할 수 있는 것과 인간이 할 수 있는 것을 구별하는 열쇠가 되는 것이 밝혀졌다. 그 후 해당 소통기술 양성방법의 하나로서 자유교양 교육(artes liberales)의 가능성에 주목하여 연구를 수행하였다. 앞으로 정말로 필요한 교육이란 무엇인가? 부지불식간에 도래한 AI(인공지능) 시대를 앞두고 교육의 본질적인 모습 자체를 근본부터 다시 생각하지 않으면 안되는 시대가 되었다. AI시대에 교사의 역할은 종래와 같은 ‘가르치고 기른다’는 ‘Teaching’의 역할만으로는 한계가 있다. 현재 ‘Teaching’ 부분은 온라인 학습이나 AI 등의 Technology로 대체되기 시작하고 있으며, 향후에는 그 속도가 한층 더 가속되어 갈 것이다. 이제 교사에게는 ‘끌어내고, 늘리다’는 의미의 ‘Coaching’의 역할이 보다 중요해졌고, 학생에게는 학습(learning)이 훨씬 더 중요해졌다. 기업에 초점을 맞춰 봐도, ‘산업혁명’이라고 표현될 만큼 충격이 큰 구조적 변화가 이 Technology와 Society의 작용으로 발생하는 결과로서 산업구조가 어떻게 변화할지에 대한 확실한 예측을 하는 것은 지극히 어렵다. 여기에 덧붙여 한국은 고령화와 인구감소라고 하는 사회문제를 안고 있다. 가히 세계에서 가장 복잡한 ‘문제를 가진 국가’라 할 수 있다. 2030년의 시장환경과 산업구조가 불투명한 가운데, 어떠한 타개책을 생각하며, 어떻게 ‘2030’의 세계를 열어 가면 좋은가? 이러한 타개책의 방안으로 제시할 수 있는 것이 사회구성원의 공통가치의 창조(CSV: Creating Shared Value)이다. 회사에서도 CSV의 중요성을 강조하여 CSV 경영으로의 진화가 매우 중요한 경영과제의 하나가 되었다. 종래의 자기 회사에 대한 가치창출을 자기 완결형으로 추구하는 에고형 모델에서 CSV에 의한 장래 에고형 모델로의 패러다임 전환이 일어나는 상황에서 한국 사회와 기업이 얼마나 대응할 수 있는가가 성공적인 조직 경영의 갈림길이 될 것이다. 그 중에서 필자는 네덜란드와 미국에서의 교육경험에 의한 사례연구법이 제시한 ‘미래에 선택할 조직’의 ‘형태’를 제안하였다. 1. 교사와 직장인의 파트타임제 도입, 2. PBL(Project-based Learning) 구현장의 제공, 3. 다양한 이해관계자와 협업하는 마음자세 이상의 3가지를 바탕으로 AI 시대 교육에 공헌하는 새로운 기업과 교육기관의 형태에 대해 기술하였다.
As the technology represented by artificial intelligence (AI) leads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and they bring about changes in the industrial structure, it is predicted that employment and labor will also change significantly. With the rapid development of science and technology, more and more people are worried that computers can take away human jobs, and verification has been made. Even in the Industrial Revolution up to now, there have been many ‘disappearing jobs,’ but there are also ‘new jobs.’ However, the transformation brought about by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is considered to be of a different quality from the past, which said that “people become unnecessary.” Therefore, this study conducted a review of the technology required in the AI era, using prior research and insurance reports from various institutions as a clue. As a result, it turns out that in the AI era, communication technology is the key to distinguishing what AI can do from what humans can do. After that, as one of the communication skills nurturing methods, the research was conducted focusing on the possibility of liberal arts (artes liberales). What education is really needed in the 21st century? With the advent of the AI (Artificial Intelligence) era, the era has come when we have to rethink the essential attitude of education itself from the ground up. In the age of AI, the role of a teacher is limited only to the role of ‘teaching’, which is ‘teaching and nurturing’ as in the past. Currently, the ‘teaching’ part is starting to be replaced by technology such as online learning or AI, and the speed will further accelerate in the future. Now, the role of ‘coaching,’ which means ‘to draw out and increase,’ has become more important. Even if we focus on the company, it is extremely difficult to predict with certainty how the industrial structure will change as a result of the multiplication of this technology and society, which is a structural change with a large impact to be described as an ‘industrial revolution.’ In addition, Korea faces social problems such as aging and population decline. Indeed, it can be said to be the most advanced ‘task developed country’ in the world. With the market environment and industrial structure of 2030 unclear, what kind of countermeasures do you think and how should we open the world of ‘2030’? What can be suggested as a hint for a solution is the CSV (Creating Shared Value) of members of society. The importance of CSV in companies is increasing even more, and the evolution to CSV management is finally becoming one of the important management tasks. In the paradigm shift from the conventional ego-type system type, which is this model that pursues value creation for one’s own company in a self-conclusive type, to a future ecosystem that adds ‘representative power’ and ‘order-type power’ by CSV, Korean society and How much a company can respond will be the turning point for successful management in the SDGs era. Among them, I would like to suggest the ‘form’ of the ‘company to be chosen in the future’ suggested by the case study method based on educational experience in the Netherlands and the United States. I would like to describe 1. Introduction of part-time system (teachers and office workers), 2. Provision of a project-based learning implementation space, 3. A mindset of collaborating with various stakeholders, based on the above three factors, a new type of company that contributes to education in the AI er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