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에서는 외상관련 정서와 용서의 관계에서 인지적 정서조절전략의 조절효과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만 18세 이상 서울, 경기, 인천, 충북, 충남, 대전, 대구, 경북, 경남, 광주, 부산, 전남 지역의 남녀 성인 중 복합 PTSD 진단 준거에 부합하는 135명을 연구대상으로 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복합외상 경험자들이 경험하는 외상관련 정서와 용서는 유의미한 부적 상관을 보였고, 적응적 인지적 정서조절전략 및 그 하위요인들과 용서는 유의미한 상관을 보이지 않았으며, 자기비난을 제외한 부적응적 인지적 정서조절전략과 그 하위요인은 용서와 유의미한 부적 상관을 보였다. 둘째, 복합외상 경험자들이 경험하는 외상관련 정서는 용서를 유의미하게 예측하였으며, 외상관련 정서와 용서의 관계에서 적응적 인지적 정서조절전략과 그 하위요인인 계획 다시 생각하기, 수용이 조절효과를 보였다. 즉, 외상관련 정서를 경험하는 경우, 적응적 인지적 정서조절전략, 계획 다시 생각하기, 수용을 사용할수록 용서가 촉진된다고 할 수 있다. 또한 외상관련 정서의 하위요인인 배신감, 공포, 소외감과 용서의 관계에서 적응적 인지적 정서조절전략의 하위요인인 수용이 조절효과를 보였다. 즉, 배신감, 공포, 소외감을 경험하는 경우, 수용을 사용할수록 용서가 촉진된다고 할 수 있다. 분노와 용서의 관계에서는 적응적 인지적 정서조절전략과 그 하위요인인 계획 다시 생각하기, 수용, 그리고 부적응적 인지적 정서조절전략의 하위요인인 자기비난이 조절효과를 보였다. 즉, 분노를 경험하는 경우, 적응적 인지적 정서조절전략, 계획 다시 생각하기, 수용, 자기비난을 사용할수록 용서가 촉진된다고 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수치심과 용서의 관계에서 적응적 인지적 정서조절전략과 그 하위요인인 긍정적 초점변경, 긍정적 재평가, 수용이 조절효과를 보였다. 즉, 수치심을 경험하는 경우, 적응적 인지적 정서조절전략, 긍정적 초점변경, 긍정적 재평가, 수용을 사용할수록 용서가 촉진된다고 할 수 있다. 이상의 연구결과는 복합외상 경험자들이 경험하는 외상관련 정서와 용서와의 관계에서 있어 인지적 정서조절전략이 조절효과를 가진다는 것을 밝혀, 높은 수준의 외상관련 정서로 용서에 어려움을 느끼며, 이 때문에 심리적 어려움을 겪는 복합외상 경험자들의 치료적 개입에 있어 외상관련 정서와 인지적 정서조절전략을 고려해야 함을 시사한다. 이러한 결과들을 토대로 본 연구의 시사점과 제한점 등을 논의하였다.
This study was aimed to identify the moderating effects of cognitive emotional regulation on the between Trauma related emotions and situation-specific forgiveness. The participants were 135 adults(to meet the diagnostic criteria for Complex PTSD) aged over 18. Collected data from the adults were analyzed with various types of methods including descriptive analysis, correlation analysi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As a result, trauma related emotions had a negative relation with situation-specific forgiveness. At the same time, adaptive emotion regulation lacked any relation with situation-specific forgiveness and maladaptive emotion regulation(except self-blame) had a negative relation with situation-specific forgiveness.
The result from multiple analyses suggested that adaptive emotion regulation refocuses on planning and acceptance moderated between trauma related emotions and situation-specific forgiveness. In addition, acceptance moderated between betrayal (fear, alienation) and situation-specific forgiveness, adaptive emotion regulation, refocuses on planning, acceptance and self-blame moderated between anger and situation-specific forgiveness. Also, adaptive emotion regulation creates positive refocusing and positive reappraisal moderated between shame and situation-specific forgiveness. This study was demonstrated as a role of cognitive emotion regulation strategies as a moderator against trauma related emotions leading forgiveness, which implies that the intervention of emotion regulation strategies should be changes according to trauma related emotions level in counseling sessions. Limitations of the results and suggestions for future research wasdiscuss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