화장품산업에서의 기업이 보유할 수 있는 핵심 경쟁력은 품질과 디자인이라고 할 수 있다. 특히 소비자의 감성을 중시하는 화장품업계에서는 패키지디자인에 소비자의 니즈와 시대의 트렌드를 반영하지 않을 수 없다. 현재 시장의 흐름으로는 합리적인 소비를 추구하는 소비패턴의 변화가 지속되고 있는 가운데 중저가 브랜드샵 제품들의 성장이 계속 이어지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중저가 화장품 또는 원 브랜드샵 화장품 브랜드들의 패키지디자인 트렌드경향의 연구를 위해 네이쳐리퍼블릭, 더페이스샵, 스킨푸드, 에뛰드, 투쿨포스쿨 등의 5개의 국내화장품브랜드와 베네피트, 더밤, 폴앤조, 그리고 안나수이 등 4개 해외화장품 브랜드를 선정하였다. 화장품패키지디자인의 분석방법으로는 화장품패키지디자인의 26가지 시각적 요소를 토대로 디자인에서 가장 두드러지는 특징을 파악하기에 부합되는 브랜드심볼과 로고타입, 컬러, 사진 또는 일러스트레이션, 캐릭터와 문양, 레이아웃, 그리고 용기형태 등 5가지 시각적 요소를 국내와 해외브랜드별로 분류하여 분석하였다. 국내·외 브랜드들의 화장품패키지디자인의 사례를 통해 얻어진 두드러진 특징을 비교분석하고 디자인트렌드 경향 또는 동향을 정리해보면 다음과 같다. 국내화장품브랜드에 나타난 공통된 특징으로는 키덜트 감성을 활용한 귀여운 일러스트와 용기형태가 주를 이루고, 해외브랜드 화장품에서는 디자인에 예술을 접목한 감성적인 디자인으로 과거의 예술양식이 부활하는 트렌드 경향을 볼 수 있다. 화장품패키지에 나타난 또 다른 특징으로 콜라보레이션 작업을 들 수 있다. 그 밖에도 개인의 건강과 행복의 근원이 자연에 있다는 인식으로 시작된 Eco Design과 Lohas Design의 경향의 영향으로 자연주의 컨셉의 디자인과 지속가능한 유기농 천연원료와 친환경 소재의 활용의 특징을 보인다. 그리고 실용적이고 실험적인 패키지디자인으로 사용의 용이성과 적절한 가격으로 다양한 기능을 갖춘 다기능 포장재(Mulyi-tasking Packaging)의 사용과 소비자들의 개인주의 및 표현으로 자신이 원하는 가치, 생활양식, 개별적 요구 등에 부합하는 제품으로 자신의 정체성을 드러내는 경향을 보인다.
The core competences that a firm can possess in the cosmetics industry are quality and design. The cosmetics business, which pays close attention to the sensibilities of consumers, particularly needs to reflect the needs of consumers and current trends in packaging design. There have been continued vagaries in market trends as consumption patterns reflect a shift to more moderate consumption, with the constant growth of low- and mid-priced brand shop products. To examine trends in packaging design with regard to low- and mid-priced cosmetics or single-brand shop cosmetics, this study selected 5 domestic cosmetic brands - Nature Republic, The Face Shop, Skinfood, Etude, and Too Cool for School, and 4 global cosmetic brands - Benefit, The Balm, Paul & Joe, and Anna Sui for analysis. To analyze cosmetic packaging design, this study analyzed 5 visual elements including brand symbols and logo types, colors, pictures or illustrations, characters and patterns, layout and container shapes that are suitable for determining the most distinctive characteristics of design based on 26 design elements of cosmetic packaging design, by classifying them into domestic and global brands. The following is a summary of the comparative analysis on the distinctive characteristics discerned from cases of cosmetic packaging design for domestic and global brands as well as design trends. The most common characteristics that were discerned among domestic cosmetic brands were mostly cute illustrations and container shapes using the kidult sentiment, whereas among global brands the trend was more towards a revival of artistic patterns of the past, using emotional designs combined with art. Another characteristic that features in cosmetic packages is collaborative works. In addition, the designs were also influenced by trends in eco design and LOHAS design, which originate from the idea that the source of individual health and happiness resides in nature, thus designs based on naturalistic concepts, sustainable and organic ingredients, and eco-friendly materials were common. Moreover, multi-tasking packaging materials that are convenient to use and reasonably priced were used as practical and experimental packaging design. Consumers tend to reveal their identity by selecting products that fit in with the values they pursue, and lifestyle and individual demands are ways that individualism and self-expression can be convey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