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원사업
학술연구/단체지원/교육 등 연구자 활동을 지속하도록 DBpia가 지원하고 있어요.
커뮤니티
연구자들이 자신의 연구와 전문성을 널리 알리고, 새로운 협력의 기회를 만들 수 있는 네트워킹 공간이에요.
요약문
1. 들어가는 말
2. 거짓말하기와 소설로 거짓말하기
3. 논쟁의 지도
4. 소설은 거짓말을 하지 않는다
5. 맺는 말
참고문헌
Abstract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인공지능 거짓말의 특성 이해 - 거짓말에 대한 윤리학적 담론을 중심으로
인공지능인문학연구
2020 .01
이토록 잔인한 거짓말
인물과사상
2016 .10
거짓말
자음과모음
2020 .12
거짓말이 너무해
창비어린이
2021 .12
하얀 거짓말
월간에세이
2018 .01
거짓말 권하는 사회
번역하다
2022 .06
진화론과 생태학적 관점에서 본 ‘거짓말’모티프의 전략적 양상과 기능적 의미
문학과환경
2023 .06
거짓말을 반대한 아우구스티누스
한국개혁신학
2024 .05
거짓말을 하는 사람은 누군가를 속이려는 의도를 가져야 하는가?
철학연구
2021 .01
밤에 읽는 흔한 소설 외
자음과모음
2020 .12
[소설] 우리가 가둔 것과 우리가 갇힌 곳
문학들
2020 .08
[소설] 우리가 우리였던
황해문화
2021 .06
[소설] 못 한 일
황해문화
2022 .06
[소설] 미애
황해문화
2021 .03
[소설] 아물지 않아, 아려, 아직도
문학들
2022 .08
[소설] 결코 무의미하지 않은
문학들
2018 .02
이것은 내가 쓴 소설이 아니다
자음과모음
2021 .03
소설을 기다리다
월간에세이
2018 .03
소설론은 움직인다
자음과모음
2023 .06
적이 없는 소설들
자음과모음
2022 .12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