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 내서재 .. 알림
소속 기관/학교 인증
인증하면 논문, 학술자료 등을  무료로 열람할 수 있어요.
한국대학교, 누리자동차, 시립도서관 등 나의 기관을 확인해보세요
(국내 대학 90% 이상 구독 중)
로그인 회원가입 고객센터 ENG
주제분류

추천
검색

논문 기본 정보

자료유형
학술저널
저자정보
김수홍 (대구대학교) 도희진 (대구대학교)
저널정보
한국공간디자인학회 한국공간디자인학회 논문집 한국공간디자인학회 논문집 제17권 제8호
발행연도
2022.12
수록면
413 - 424 (12page)

이용수

표지
📌
연구주제
📖
연구배경
🔬
연구방법
🏆
연구결과
AI에게 요청하기
추천
검색

초록· 키워드

오류제보하기
(연구배경 및 목적) 온라인 플랫폼을 통한 콘텐츠 크리에이터 시장이 새로운 문화로 발전하기 시작하였고, 다양한 분야의 뉴미디어 콘텐츠 활동이 사회에서 강한 영향력을 펼치고 있다. 현재 콘텐츠 크리에이터 활동으로 수익을 창출하는 상업 시스템이증가하여 이미 수년 전부터 새로운 미디어 시장을 형성하였다. 그중에서도 패션계 기업이나 크리에이터가 패션 콘텐츠를 통해확산하며 두각을 나타내는 중이다. 하지만 소규모 기업이나 스타트업, 1인 기업은 장비 부족, 공간의 제약, 마케팅 플랫폼의 부재등으로 업무 환경이 열악한 상황에 놓여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오래전에 등장한 공유 공간으로 패션업계에서도 관심이 몰리는 추세지만, 패션 디자이너의 전문적인 작업 환경까지 지원되는 코워킹 스페이스가 드물며 지원되는 소수의 공간이있더라도 높은 비용으로 인해 진입장벽이 높은 편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콘텐츠 제작에서 온라인 마케팅까지 패션 크리에이터의 작업을 지원할 수 있는 코워킹 스페이스의 사례를 조사하고, 분석을 통한 개선점과 보완되어야 할 공간 도출에 목적이 있다. (연구방법) 본 연구에서는 첫째, 온라인 마케팅 비즈니스의 추세와 패션 크리에이터의 온라인 마케팅 현황에 대해 알아본다. 둘째, 패션 크리에이터의 작업을 살펴보고 업무 활동을 지원할 수 있는 공간에 대해 알아본다. 셋째, 코워킹 스페이스의 개념과 현황을 조사하고 선행 연구를 통해 코워킹 스페이스의 공간 구성을 파악한다. 넷째, 코워킹 스페이스 중 촬영 스튜디오가 구성된곳을 선정하여 사례 조사와 분석을 진행한다. 다섯째, 패션 크리에이터를 위한 공간을 도출하고 지원 가능성을 체크 한다. 마지막으로 패션 크리에이터의 원활한 작업 환경을 위한 코워킹 스페이스의 공간 구성 요소와 특징을 분석한다. (결과) 국내 코워킹스튜디오 네 곳의 사례조사로 공간적인 특성을 알아본 결과 독립형 오피스와 멀티형 오피스, 회의실과 폰부스 OA존 등은 기본적인 공간으로 지원을 하고 있었다. 하지만 커뮤니티가 가능한 오픈형 오피스 같은 경우 공간의 성격이 뚜렷하지 않고 라운지와 같이 사용되는 경우가 대부분이었다. 필요 이상으로 오픈된 오피스 공간이 커뮤니티 공간과 업무 공간의 목적을 흐리게 만드는 실정이다. 서비스와 업무를 지원하는 공간에서는 공간 제공의 유무 차이가 컸고, 패션 크리에이터의 협업과 마케팅 업무를 볼 수있는 공간은 지원하지 않음을 알 수 있었다. (결론) 코워킹 스페이스의 취지에 맞게 기업과 크리에이터가 협업하여 마케팅 업무를 지원할 수 있는 오픈형 오피스 공간을 개선하는 것이 시급해 보인다. 촬영 스튜디오 뿐 만 아니라 패션계 기업이나 브랜드와의 협업을 지원하는 마케팅 공간과 모델을 매칭 하거나 상품을 코디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샘플실과 피팅룸 또한 필요하다. 온라인 콘텐츠 크리에이터를 위한 코워킹 스페이스 공간의 개선과 보완을 통해 패션 크리에이터의 활동을 지원하는 공간이 창출된다면, 패션 업계의 다양성 확보로 인한 성장과 더불어 뉴미디어 시장의 확산이 새로운 경쟁력으로 자리 잡게 될 것이다.

목차

등록된 정보가 없습니다.

참고문헌 (0)

참고문헌 신청

함께 읽어보면 좋을 논문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이 논문의 저자 정보

최근 본 자료

전체보기

댓글(0)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