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배경 및 목적) 온라인 플랫폼을 통한 콘텐츠 크리에이터 시장이 새로운 문화로 발전하기 시작하였고, 다양한 분야의 뉴미디어 콘텐츠 활동이 사회에서 강한 영향력을 펼치고 있다. 현재 콘텐츠 크리에이터 활동으로 수익을 창출하는 상업 시스템이증가하여 이미 수년 전부터 새로운 미디어 시장을 형성하였다. 그중에서도 패션계 기업이나 크리에이터가 패션 콘텐츠를 통해확산하며 두각을 나타내는 중이다. 하지만 소규모 기업이나 스타트업, 1인 기업은 장비 부족, 공간의 제약, 마케팅 플랫폼의 부재등으로 업무 환경이 열악한 상황에 놓여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오래전에 등장한 공유 공간으로 패션업계에서도 관심이 몰리는 추세지만, 패션 디자이너의 전문적인 작업 환경까지 지원되는 코워킹 스페이스가 드물며 지원되는 소수의 공간이있더라도 높은 비용으로 인해 진입장벽이 높은 편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콘텐츠 제작에서 온라인 마케팅까지 패션 크리에이터의 작업을 지원할 수 있는 코워킹 스페이스의 사례를 조사하고, 분석을 통한 개선점과 보완되어야 할 공간 도출에 목적이 있다.
(연구방법) 본 연구에서는 첫째, 온라인 마케팅 비즈니스의 추세와 패션 크리에이터의 온라인 마케팅 현황에 대해 알아본다. 둘째, 패션 크리에이터의 작업을 살펴보고 업무 활동을 지원할 수 있는 공간에 대해 알아본다. 셋째, 코워킹 스페이스의 개념과 현황을 조사하고 선행 연구를 통해 코워킹 스페이스의 공간 구성을 파악한다. 넷째, 코워킹 스페이스 중 촬영 스튜디오가 구성된곳을 선정하여 사례 조사와 분석을 진행한다. 다섯째, 패션 크리에이터를 위한 공간을 도출하고 지원 가능성을 체크 한다. 마지막으로 패션 크리에이터의 원활한 작업 환경을 위한 코워킹 스페이스의 공간 구성 요소와 특징을 분석한다. (결과) 국내 코워킹스튜디오 네 곳의 사례조사로 공간적인 특성을 알아본 결과 독립형 오피스와 멀티형 오피스, 회의실과 폰부스 OA존 등은 기본적인 공간으로 지원을 하고 있었다. 하지만 커뮤니티가 가능한 오픈형 오피스 같은 경우 공간의 성격이 뚜렷하지 않고 라운지와 같이 사용되는 경우가 대부분이었다. 필요 이상으로 오픈된 오피스 공간이 커뮤니티 공간과 업무 공간의 목적을 흐리게 만드는 실정이다. 서비스와 업무를 지원하는 공간에서는 공간 제공의 유무 차이가 컸고, 패션 크리에이터의 협업과 마케팅 업무를 볼 수있는 공간은 지원하지 않음을 알 수 있었다. (결론) 코워킹 스페이스의 취지에 맞게 기업과 크리에이터가 협업하여 마케팅 업무를 지원할 수 있는 오픈형 오피스 공간을 개선하는 것이 시급해 보인다. 촬영 스튜디오 뿐 만 아니라 패션계 기업이나 브랜드와의 협업을 지원하는 마케팅 공간과 모델을 매칭 하거나 상품을 코디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샘플실과 피팅룸 또한 필요하다. 온라인 콘텐츠 크리에이터를 위한 코워킹 스페이스 공간의 개선과 보완을 통해 패션 크리에이터의 활동을 지원하는 공간이 창출된다면, 패션 업계의 다양성 확보로 인한 성장과 더불어 뉴미디어 시장의 확산이 새로운 경쟁력으로 자리 잡게 될 것이다.
(Background and Purpose) The content creator market, through online platforms, has begun to develop into a new culture. New media content activities in various fields strongly influence society. Several commercial systems that generate revenue from content creator activities have increased, and a new media market has developed over several years. Among them, fashion companies and creators spread content and stand out. However, small companies, startups, and single-person companies have poor working environments owing to a lack of equipment, marketing platforms, and space constraints.
Although a shared space has already emerged to solve this problem, co-working spaces for the professional working environment of fashion designers are rare and expensive due to high entry barriers. Therefore,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and analyze co-working space cases that can support fashion creators' work, from content production to online marketing, to derive space to supplement improvements. (Method) First, we examined the online marketing trends and business status of fashion creators. Second, we looked at the work of fashion creators and found spaces to support their work activities. Third, the concept and current status of the co-working spaces were investigated, and the spatial composition of the co-working spaces were identified through previous studies. Fourth, a co-working space in which a filming studio is formed is selected to conduct a case study. Fifth, a space for fashion creators, confirming the possibility of support is provided. Finally, the spatial components and characteristics were analyzed for a smooth working environment for fashion creators. (Results)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spatial characteristics of the four co-working studios—independent offices, multi-type offices, conference rooms, and phone booths—OA zones were supported as basic spaces. However, an open office was used with the lounge because the nature of the space was not clear. Office spaces that are more open than necessary blur the purpose of the community and work spaces. There was a big difference between service and work support space, and it was found that it did not support spaces where fashion creators could collaborate and market.
(Conclusions) There is an urgent need to improve the open office space where companies and creators collaborate to meet the purpose of the co-working space. Furthermore, a filming studio, a marketing space that supports collaboration with companies, a sample room that can match models or coordinate products, and a fitting room, are needed. If there is space to support fashion content creators' activities by improving the co-working spaces, the spread of the new media market will become new competitiveness with the growth of the fashion indust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