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원사업
학술연구/단체지원/교육 등 연구자 활동을 지속하도록 DBpia가 지원하고 있어요.
커뮤니티
연구자들이 자신의 연구와 전문성을 널리 알리고, 새로운 협력의 기회를 만들 수 있는 네트워킹 공간이에요.
등록된 정보가 없습니다.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英祖代 思悼世子 대리청정기 종묘 의례시행 양상
역사와 담론
2023 .10
사도세자의 죽음을 둘러싼 논란
동아문화
2020 .12
영조(英祖) 구술(口述) 어제지문(御製誌文) 사도세자(思悼世子) 묘지(墓誌)의 존재와 서지 검토
한국사상과 문화
2018 .01
조선후기 龍洞宮의 思悼世子 願堂 관리 - 수원 龍珠寺의 사례를 중심으로 -
古文書硏究
2020 .01
思悼世子 추존을 위한 정조의 서술전략-<顯隆園誌>를 중심으로-
대동한문학(大東漢文學)
2015 .01
英 ․ 正祖 연간 樊巖 蔡濟恭의 생애와 정치 활동
민족문화
2023 .07
조선후기 世子 喪禮 의절의 확립과 그 성격
[TCHCCOS] 서울과 역사
2016 .06
인조대 구궐(舊闕) 동궁(東宮) 중건과 후계구도 변경 - 『저승전의궤(儲承殿儀軌)』의 분석 -
역사와실학
2024 .11
세종실록을 통해 본왕세자(문종) 교육의 특징
역사교육논집
2019 .01
조선 초기 태종의 호학과 세자 교육
율곡학연구
2017 .12
영조 시기 宋代 朋黨論의 수용과 활용 — 주희 「與留丞相書」를 중심으로 —
사림
2018 .01
영조대 후반 왕실여성들의 정치적 행보와 역할
영남학
2024 .03
정조의 천주교 인식 배경과 진산사건의 정치적 함의
史叢(사총)
2019 .01
신라 상고기 ‘태자’의 성격과 등장 배경
사림
2024 .04
외교문서를 통해 본 도르곤 섭정기 조·청 외교
동양사학연구
2023 .09
사도세자 관련 만인소의 정치적 의미
남도문화연구
2018 .01
1749년 우역제사의 시행과 그 이유
장서각
2020 .04
‘승계계획’의 측면에서 본 조선시대 세자에 대한 연구
한국학논집
2020 .03
한중록의 전승과 현대적 변용의 특질
온지논총
2018 .01
移葬 과정을 통해 본 「顯隆園誌」의 성격
장서각
2020 .04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