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원사업
학술연구/단체지원/교육 등 연구자 활동을 지속하도록 DBpia가 지원하고 있어요.
커뮤니티
연구자들이 자신의 연구와 전문성을 널리 알리고, 새로운 협력의 기회를 만들 수 있는 네트워킹 공간이에요.
이용수
등록된 정보가 없습니다.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50광년 밖 태양 9분의 1 크기 별에서 지구 13배 행성 발견
나침반 36.5도
2024 .01
인류세 위기 시대의 글로벌 시민성 교육
글로벌교육연구
2021 .09
인간 및 인간너머 존재에 의한 생태사회적 커먼즈의 형성 : 행성성에 의거한 커먼즈 접근과 관련 사례들
환경사회학연구 ECO
2023 .12
모래로 만든 도시 : 인류세와 행성 포식자 그리고 동아시아 골재의 행성적 연결망
한국지역지리학회 학술대회발표집
2020 .12
지리교육에서 행성적 관점을 통한 인간-자연 관계의 적용가능성 연구
사회과교육
2023 .03
기후위기 국제정치에 대한 메타 이론적 검토와 대안 이론 논의: 행성정치의 국제정치학을 위한 시론
인문사회 21
2022 .08
행성적 도시화론과 동아시아 도시의 경계
한국지역지리학회 학술대회발표집
2020 .12
APTA 이행성과 평가
한국무역학회 세미나 및 토론회
2023 .02
기후위기와 헌법 - 기후위기에 대한 기본권 관점의 접근 -
공법학연구
2022 .05
행성적 도시화와 비인간 동물의 삶, 도시권 운동의 생태적 확장
뉴 래디컬 리뷰
2021 .03
인류세와 행성질서 : 마음권의 공화국
한국정치학회보
2024 .12
[트랜스] 행성적 사유 ― ‘인류세’ 시대의 문학과 ‘시간’에 대한 사유
뉴 래디컬 리뷰
2023 .10
종말 이후와 계속되는 삶-백민석ㆍ김기창ㆍ김초엽의 기후소설에 나타난 종말의 수사학-
동아시아문화연구
2024 .02
이 먼지의 행성을 탐사하는 사변적 명상 -유진 새커, 『이 행성의 먼지 속에서』, 김태한 옮김, 필로소픽, 2022
뉴 래디컬 리뷰
2022 .12
유튜브에서 ‘기후변화’, ‘기후위기’, ‘지구온난화’는 어떻게 다뤄지는가? : 기후 문제 대응을 위한 공공커뮤니케이션 방향 모색
광고PR실학연구
2021 .08
죽음 앞둔 별이 태양계 가장 큰 목성 크기 행성 집어삼키는 장면 포착···지구도 50억년 후 같은 운명
나침반 36.5도
2023 .06
외계행성 3차원 대기 구조 첫 관측… "철-나트륨-수소 바람 확인"
나침반 36.5도
2025 .04
포스트식민 시대의 로컬 연구로서 ‘아시아 여성연구’의 연구방법론을 위하여
마르크스주의 연구
2016 .08
기후변화의 적응에 관한국제논의와 국내 법제 개선방안
원광법학
2024 .09
기후위기 적응 정책과 기후정의의 문제 ― 최근 발의된 기후위기대응법안들을 중심으로 ―
환경법연구
2021 .01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