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원사업
학술연구/단체지원/교육 등 연구자 활동을 지속하도록 DBpia가 지원하고 있어요.
커뮤니티
연구자들이 자신의 연구와 전문성을 널리 알리고, 새로운 협력의 기회를 만들 수 있는 네트워킹 공간이에요.
국문요약
1. 들어가는 말
2. 영화 세계에 관한 이론적 모델들
3. 멀티버스의 서사화 : 현실에 대한 불만에서 멀티버스의 열림으로
4. 멀티버스의 시각화 : 충돌의 원리와 균열의 원리
5. 나가는 말
참고문헌
Abstract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PROCESS-Multiverse
한국기초조형학회 작품집
2024 .11
영화적 재배치로서 메타버스 영화
현대영화연구
2022 .06
햄릿과 광증의 멀티버스
공연과이론
2022 .06
‘영화연구’를 말한다
영화연구
2024 .06
『영화연구』 103호 특집논문을 엮으며
영화연구
2025 .03
『영화연구』 제100호에 부쳐
영화연구
2024 .06
[Movie Review] 영화 ‘용감한 시민’
월간 리뷰
2024 .01
‘만약에(What If...?)’, 전통적 내러티브의 영상작품에서 나타나는 디지털 내러티브 수용방식의 모습
영상문화콘텐츠연구
2022 .06
2000년대 한국 대중영화를 통해 바라본 사회ㆍ정치적 담론과 미디어적 현상 연구
만화애니메이션 연구
2016 .03
교육영화란 무엇인가 : 교육영화의 개념과 수용
씨네포럼
2015 .12
마블버스에 나타난 리미널리티와 카오스의 양상 - -영화〈스파이더맨:노 웨이 홈〉을 중심으로 -
영상문화콘텐츠연구
2024 .06
영화포스터의 디자인 방향성에 관한 연구 - 장르별 영화포스터 비교분석을 중심으로 -
커뮤니케이션디자인학연구
2017 .01
지방자치단체의 메타버스 디자인과 활용전략 - 의정부시의 메타버스 디자인을 사례로 -
커뮤니케이션디자인학연구
2022 .10
실관람 관객 데이터를 활용한 영화마케팅 방법 연구 : 영화 〈헛소동〉 관람 관객을 중심으로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
2018 .03
가상현실영화의 개념과 제작 기술 분석
애니메이션연구
2015 .12
1980년대 비제도권 영화운동의 이론과 실천-영상 매체의 민주화와 (급진적) 재발명-
현대영화연구
2018 .01
영화 평점에 영향을 미치는 감정 동사 연구: 3개 흥행 영화를 중심으로
영상문화콘텐츠연구
2020 .10
1990년대 기획영화 탄생의 배경과 요인 연구
씨네포럼
2017 .08
메타버스를 위한 효과적인 모델링과 맵핑에 관한 연구 -제페토를 중심으로-
만화애니메이션 연구
2022 .12
2017년 중반 이후 종합편성채널을 통해 등장한 한국 영화 예능 프로그램의 새로운 변화
씨네포럼
2019 .04
0